학습된 예민함 (Forced Sensitiveness)

2014.07.03 ▶ 2014.07.24

표갤러리 사우스

서울 강남구 청담동 118-17 네이쳐포엠빌딩 B112호

Map

초대일시ㅣ 2014년 7월 3일 17:00pm

  • 노세환

    똑같이 만들려고 최선을 다한 바나나l Archival Pigment Print, 150x220cm, 2014

  • 노세환

    코카콜라와 펩시콜라를 구분할 수 있는 예민함 Archival Pigment Print, 100x150cm, 2014

  • 노세환

    똑같이 만들려고 최선을 다한 바나나 Archival Pigment Print, 120x100cm, 2014

  • 노세환

    똑같이 만들려고 최선을 다한 파프리카 Archival Pigment Print, 100x150cm, 2014

  • 노세환

    브로콜리와 콜리플라워의 차이 Archival Pigment Print, 100x100cm, 2014

  • 노세환

    브로콜리와 콜리플라워의 차이 Archival Pigment Print, 100x100cm, 2014

  • 노세환

    36개의 생수를 구분할 수 있다는 미감을 믿는 오만함 Archival Pigment Print, 100x150cm, 2014

  • 노세환

    오렌지를 오렌지 색으로 만든 것은 물감회사 일지도 Archival Pigment Print, 90x70c, 2014

Press Release

학습된 예민함
학창시절의 시험들을 돌이켜보면 문제들은 객관식 문항들이 주를 이루고, 이것들은 다른 것을 찾아내는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사지선다형 문제의 경우 4개의 항목 중에 2개 정도는 명확히 구분되나, 남은 두 가지는 고르기에 애매한 항목들을 제시하는 것이 일반적인 시험문제라 생각된다. 이들은 학생들의 교과과정 이행상황을 점검하는 방법으로는 이상적이라 사려되지만, 이것들이 갖는 부작용들은 고려되지 않았다. 나의 과장된 예민함을 학교교육의 탓으로 돌리는 것은 다소 옹졸하고 무책임한 변명일지도 모르나, 혹시라도 나의 의견에 동의하는 교육학자 혹은 심리학자가 있다면, 나의 변명이 그럴듯해 보이도록 조금 더 과학적인 접근을 통한 근거를 보여주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
이러한 교육이 과장된 민감함의 시작이라면, 또 다른 과장된 민감함의 학습은 미디어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미 모두가 알고 있듯이 많은 식품브랜드들이 서로 비슷한 제품들을 만들어 낸다. 예를 들면 코카콜라-펩시콜라, 짜파게티-짜짜로니, 심지어 비빔면은 농심, 팔도 두 큰 식품 업체가 같이 만들고 있다. 자이리톨 껌과 초코파이는 역시 롯데, 해태, 오리온 모두에서 생산 판매되고 있다.
아주 오랫동안 각각의 브랜드에서 나오는 비슷한 제품들의 차이를 구분하는 것는 예민함을 자랑이라 여기던 나는 군대에서도 초코파이는 오리온 제품만 취식했고, 콜라는 코카콜라, 소주는 참이슬, 비빔면은 역시 팔도 비빔면이라는 주관을 가지고 있었고, 이들의 차이를 보여주는 프로젝트를 기획했던 것이 1년여 전이지만, 이 프로젝트를 전시로써 보이려고 하는 지금의 나는 내가 가진 민감함이 생각보다 무디다는 것을 깨달았고, 그 민감함이 오만이라고 결론 내며, 알게 모르게 주입 되어진 고정관념이 문제라고 핑계 대고 있다.

서른 일곱 해 동안 나를 미식가로 키운 것은 8할이 메스미디어였다.
시대를 가리지 않고 사람들이 모이면 가장 많이 하는 가벼운 이야기 주제 중 하나는 아마도 먹을 거리에 대한 이야기일 것이다. ‘어디에 가서 무엇을 먹었는데 맛있더라’고 누군가 화두를 던지면, 그 뒤를 잇는 것은 ‘그 음식은 어디에 무슨 식당이 맛있다, 그것의 가장 맛있는 곳은 여기 라며 자신이 아는 맛집들을 주문을 외우듯 읇곤 한다. 또한 인터넷에 맛집 검색을 하면 블로그 조회 건수가 3,732,256 건이나 되니 자신이 경험한 맛있는 집을 자랑 삼아 알리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상의 일이 되어버렸다.

입맛 까다로운 부친을 둔 덕분에 어린 시절부터 맛집이라 불리는 음식점을 두루자주 많이 다닐 수 있는 기회가 있었고, 덕분에 또래 중에는 미식가로 통하게 되었다. 어디 가면 무엇이 맛이 있느냐는 친구들의 전화를 자주 받는 편이고, 맛있는 음식점에 대한 이야기에서는 주도권을 놓치지 않는다. 편의점에서 생수를 마실때도 몇백원이 더 비싼 ‘삼다수’가 최고라 여기며 이를 선택하는데 주저하지 않았다.
하지만 내가 먹은 음식들을 돌이켜 생각해보면, 의심이 드는 부분이 있다. 중저가 식당의 음식수준이 상당이 낮은 런던에서도 나는 잘 살아 왔으며, 어느 식당에서나 이런 저런 이유를 들어 맛을 평가하는 민감함을 부리곤 하지만 음식을 잘 남기는 편은 아니다.

30개가 넘는 생수 브랜드
생수의 맛을 구분한다는 내 자신에 대한 생각은 그 오만함이 하늘을 찌른다. 어린 시절 처음 파리에 도착했을 때, 어린시절 국내에서는 쉽게 접근할 수 없었던 고급생수의 대표브랜드인 에비앙을 파리에서 처음 접했을 때, 나는 그 비릿한 맛에 고개를 저었었다. 그때부터 나의 의식 안에는 나의 입맛이 생수를 구분할 정도로 예민하다 여겼지만, 15년이 지난 지금 그 상황을 면밀히 검토하면 비행기에서 막 내린후 미지근한 에비앙을 마셨으니 당연히 비릿할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나의 판단은 부적절한 조건을 고려하지 못한 채 섣불리 단정지은 결론과 그 인상이 현재까지 남아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수 많은 종류의 생수브랜드는 과연 차이를 가지고 있을까? 물들의 산지와 그 물을 위생적으로 담아내는 기술, 물의 품질 유지를 위한 노력들을 각각 달리 할 수 있겠지만, 현재까지는 큰 차이를 갖을 수 없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하지만 그 생수들은 각각이 가진 브랜드인지도와 매출로 증명된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해서 각자 다른 가격을 가지고 있다. 대형 마트의 깜짝 세일을 감안하면, 가장 고가제품과 저가제품의 차이는 거의 두 배에 이른다. 생수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있었던 나는 이를 구분하는 것에 대한 장난스런 시작이 진지함을 갖기 시작한
것은 이들을 구분해내는 재간이 나에게는 없었다는 것이다.
이번 작업을 위해 나의 입맛에 대한 의구심을 시작으로 쉽게 실험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생수를 구입해 블라인드 테스트를 해보았지만 내가 최고의 물이라 여겼던 삼다수를 골라낸 적은 아직 없다. 코카콜라와 펩시 콜라, 카스와 하이트, 참이슬과 처음처럼 등 비슷하지만 다른 것들로 구분 지어 놓은 것들, 특히 광고에 의해 상대방의 제품보다 더 낫다고 주장하는 것들이 실제로는 범인들에게 쉽사리 구분되어질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문득 든다. 물론 소주와 콜라등의 특유의 맛이 존재하는 제품들의 경우는 둘을 번갈아 마시는 상황에서는 확연히 구분된다. 하지만 시간을 두고 두 제품을 마시는 경우에는 역시 구분이 어렵다.
또한 코카콜라는 그 제품 특유의 화학적 배합을 절대 노출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다. 하지만 범죄수사에서 물방울 하나와 피 한 방울로도 범인을 찾아내는 놀라운 과학발달시대에 시료들이 넘쳐나는 콜라의 배합을 알아내지 못한다는 주장은 쉽게 납득이 가질 않는다. 두 대형콜라업체들은 서로의 배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사려되고, 단지 그들은 서로 다른 맛을 만들어 내고 있고 계속적으로 신제품을 개발하고 있는 것이라 여겨진다. 하지만 재미있게 느껴지는 것은 그들이 콜라 맛에 발전에 쏟는 노력보다도 광고나 제품 디자인 등 맛 외적인 것에 훨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 점이 실제 매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에 학습된 대중들은 자신이 선택한 콜라들이 우수하다는 각 회사의 주장에 별로 다르지 않은 두 콜라의 차이를 억지로 구분하고 있지는 않은가?

미디어에 의한 세뇌
미디어의 형태는 매우 많이 바뀌어 왔지만 아마도 인간이 정상적인 언어생활을 하기 시작할 무렵부터 입소문이라는 미디어는 존재했을 것이다. 어디 뭐가 좋더라 어딜 가야 뭘 얻을 수 있더라는 일명 “카더라통신”은 인류와 같이 발전했을 것이라 생각한다. 먹는 방송 대세인 요즘 TV를 보면 어느 지역에 뭐가 맛있는 집인지에 대한 생활정보 프로그램이 끊임 없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나는 전시를 위해 케이블 방송과 종편을 포함해 맛집 코너가 속해 있는 프로그램들을 세다가 결국 포기했다.
맛집이라고 방송하는 미디어에 세뇌를 당한 뒤 그 음식점을 찾아갔을 때, 과연 우리는 객관적으로 이 맛집들을 냉정하게 평가할 수 있을까? 일단 맛있는 집이라는 편견을 가지고 찾아간 채로 맛보기 시작한 점이 객관적인 시야를 가릴 것이고, 부정적인 의견을 가진 누군가도 자신의 까다로운 입맛을 과시하기 위한 편협한 생각에서 나온 의견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얼마 전 토요일 에능 프로그램인 ‘무한도전’에서 맴버들의 눈을 가린 채 인스턴트 냉면과 유명 맛집의 냉면을 구분하는 방송편이 있었는데, 멤버들은 화학조미료가 더 들어간 인스턴트 냉면을 유명 냉면집의 냉면이라도 판단했던 방송 분도 역시 같은 맥락이라 생각된다.

나는 생각보다 예민하지 않다.
이런 저런 생각들과 그 실험 후 내린 나의 결론은 어떤 부분에서 나는 생각보다 예민하지 않다. 하지만 상업적인 결과, 혹은 학습의 결과로 민감을 요구하는 사회는 나를 민감하게 하다. 여기게 만들고, 예민함이 남들과 다름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어찌 생각하면 이는 큰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과도한 민감함이 학습되어지며 많은 분쟁이 야기되고 있지는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둥글 둥글하게 세상을 사는 것이 좋다고 말하면서도 스스로에게는 민감함을 학습시키고 있는 것, 또한 남들에게는 모나지 않은 인간관계를 요구하면서도 나 자신은 예민함을 요구하고 있는 것은 아마도 남들은 일반적이고 자기자신은 평범한 그들에 비해 예민하고 민감한 특별함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착각인 것일까?
이전 프로젝트 ‘Meltdown’에서 사람들이 잘 아는 오브제를 선택하여, 내가 제시하는 이미지와 감상자의 습관적 기억 속에 있는 시각과 촉각과의 비교를 관객들에게 요구 했었다. 그들이 가지는 관념이 고정되어 있을 지도 모른다는 의사를 전달하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비교대상을 계속적으로 제시한다. 대상들을 최대한 똑같이 제작하도록 노력하거나, 혹은 다르게 표시되어 있지만 구분이 큰 의미를 가지지 않는 사물들을 비교할 수 있게 제시하고, 그것들이 같은 것이 아님을 표시하는 언급만을 하는 것은 사람들이 저마다 가진 예민함에 대한 존중이다.
다만, 이번 작업 이전의 나의 예민함의 정도는 높은 수준이라 생각했는데, 작업을 한창 진행중인 지금은 자신이 없다. 하지만 내 작업을 보는 사람들에게 “당신의 예민함은 그다지 날카롭지 않습니다.” 라는 말이 하고 싶은 것은 전혀 아니다. 그저 가지고 있는 예민함의 근원을 한번쯤 생각했으면 하는 바램이다. 세상을 너무 예민하게 사는 것은 매우 피곤한 일이기 때문이다.

전시제목학습된 예민함 (Forced Sensitiveness)

전시기간2014.07.03(목) - 2014.07.24(목)

참여작가 노세환

초대일시2014년 7월 3일 17:00pm

관람시간10:00am - 06:00pm

휴관일일요일

장르사진

관람료무료

장소표갤러리 사우스 Pyo Gallery South (서울 강남구 청담동 118-17 네이쳐포엠빌딩 B112호)

연락처02-511-5295

Artists in This Show

표갤러리 사우스(Pyo Gallery South) Shows on Mu:um

Current Shows

화살표
화살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