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포스터
양정욱
피곤은 언제나 꿈과 함께 2013, 나무, 모터, 실, 백열등, 아크릴, 플라스틱 병, 300x197x197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임윤경
Q&A 2016, 영상 설치: 2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14분 36초; 전시 부스, 145x300x30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허만 콜겐
망막 2018, 3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2채널 오디오, 레이저, 10분. 작가 소장
루이즈 부르주아
코바늘 II 1998, 믹소그라피, 71.1x84.8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아크람 자타리
스크립트 2018,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7분 24초. ⓒ 아크람 자타리, 토마스데인갤러리 제공
세실리아 비쿠냐
나의 베트남 이야기 2021,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6분 45초. 세실리아 비쿠냐, 라 카사 데 라스 레코히다스 및 리만머핀 뉴욕/홍콩/서울/런던 제공
시프리앙 가이야르
호수 아치 2007, 단채널 비디오, 컬러, 무음, 1분 43초.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안리 살라
붉은색 없는 1395일 2011, 단채널 HD 비디오, 컬러, 5.0 서라운드 사운드, 43분 46초. 마리안굿맨갤러리, 하우저&워스 제공. ⓒ 안리 살라, 에스에즐라 카메릭, 아트앤젤, SCCA/2011
송주원
뾰루지.물집.사마귀.점 2021, 3채널 HD 비디오, 컬러, 사운드, 7분 15초. 작가 소장
뮌(김민선_최문선)
오디토리움(Template A-Z) 2022, 캐비닛 5개, 오브제, DMX 콘트롤러, 컴퓨터, 모터, 122x50x400cm(5), 700x400x400cm(전체). 작가 소장. 국립현대미술관 지원으로 제작
박혜수
기쁜 우리 젊은 날 2022, 비디오(강예은 공동연출): 2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25분; 회화 설치(by 함미나), 가변크기. 작가 소장. 국립현대미술관 지원으로 제작
(2016), 시각정보와 인간의 뇌를 거쳐 기억으로 저장되는 과정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허만 콜겐의 영상작품 <망막>(2018)을 선보인다.
2부 ‘지금, 여기’에서는 우리가 과거의 정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기억하는지 살펴본다. 시간의 연속성과 기억의 관계를 표현한 루이즈 부르주아의 판화 연작 <코바늘>(1998), 매체에 의해 형성된 편파적 기억에 대해 질문을 던지는 아크람 자타리의 영상 <스크립트>(2018), 과거 자신의 경험을 통해 비춰본 다른 문화 속의 기억과 아픔에 대해 말하는 세실리아 비쿠냐의 영상 <나의 베트남 이야기>(2021), 과거 찬란했던 문화유산의 가치를 현재의 관점에서 재평가하는 시프리앙 가이야르의 영상 <호수 아치>(2007)를 통해 과거의 기억이 현재의 우리에게 어떠한 방식으로 발현되고 있는지, 어떻게 미래 세대에게 이어질지 질문한다.
3부 ‘그때, 그곳’에서는 미래 세대가 기억하는 과거, 즉 현재의 우리는 어떤 모습으로 남겨질지 고민해본다. 과거의 특정 사건을 직접 경험하지 못한 이들은 기록되지 못한 부분을 상상의 영역으로 대체하게 된다. 기억은 문자로 기록될 수 없는 당시의 분위기, 감정, 시공간 등과 같은 수많은 공감각적 정보를 포함한다. 역사적 사건의 기록과 기억의 빈틈을 상상력으로 메우는 안리 살라의 <붉은색 없는 1395일>(2011), 송주원의 <뾰루지.물집.사마귀.점>(2021) 두 영상작품을 비롯해 뮌, 박혜수, 홍순명의 신작이 공개된다. 뮌은 동시대 이슈를 45개의 장면으로 구성한 설치작품 <오디토리움(Template A-Z)>(2022), 박혜수는 개인의 역사를 첫사랑을 주제로 되짚어보고 회화로 대상을 재구현한 영상 및 회화설치작품 <기쁜 우리 젊은 날>(2022), 홍순명은 바다라는 추상적인 풍경에 중첩된 수많은 기억을 표현한 회화 <비스듬한 기억–역설과 연대>(2022)를 각각 선보인다.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은 “예술작품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재해석된 기억의 의미를 살펴보는 전시”라며 “공동체와 미래에 남겨질 기억의 모습을 상상하며 현재의 우리의 모습을 되돌아 볼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1911년 프랑스 파리출생
1972년 출생
1974년 출생
1928년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피츠버그출생
1982년 출생
1959년 서울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