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회화예술(고려불화 )

한국미술사 l 고려시대 회화예술(고려불화 )

귀족적인 화려함

치국(治國)의 정신적 배경이 불교였던 고려는 일상용구에서 미술작품에 이르기까지 불교적인 색채가 농후하게 반영되었다.
귀족적인 화려함을 보여주는 고려불화는 국가의 안녕과 왕실의 번영을 바라는 왕족 및 귀족들의 요구에 의해 만들어졌는데, 안타깝게도 왜구의 약탈로 인해 대부분 일본에 소장돼 있다.

  • 아미타여래입상

    1286년, 비단에 금니채색, 203.5×105cm, 일본은행 소장

  • <아미타여래입상> 옷 주름 부분

  • <아미타여래입상> 손 부분

  • 아미타삼존도

    국보 218호, 14세기, 비단에 채색, 110×51㎝,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 서구방, <수월관음도>

    1323년, 165.5×101.5cm, 일본 개인소장

  • 서구방, <수월관음도> 선재동자 부분

  • 수월관음도

    일본 중요문화재, 1310년, 비단에 채색, 화폭430×254cm, 전체530×300cm, 일본 가가미신자(鏡神社) 소장

  • <수월관음도> 상단

  • <수월관음도> 하단

Description

치국(治國)의 정신적 배경이 불교였던 고려는 일상용구에서 미술작품에 이르기까지 불교적인 색채가 농후하게 반영되었다. 귀족적인 화려함을 보여주는 고려불화는 국가의 안녕과 왕실의 번영을 바라는 왕족 및 귀족들의 요구에 의해 만들어졌는데, 안타깝게도 왜구의 약탈로 인해 대부분 일본에 소장돼 있다.

 

 

고려미술, 불교적 색채의 반영

10세기 초 통일신라에 이어 성립된 고려도 치국(治國)의 정신적 배경이 불교에 있었던 만큼 이 시기에 생산된 미술 작품 역시 직접 불교와 관련이 있음은 물론, 일상 용구에 이르기까지 불교적인 색채가 농후하게 반영되었다. 즉, 사원 건립의 성행으로 많이 세워진 당탑(堂塔)은 물론 이에 부수되는 각종 건조물과 상설(像設), 불교 행사에 필요한 불구(佛具)들은 직접 불교와 관련된 작품들이기에 말할 나위도 없으나, 도자기와 와전(瓦塼)에까지도 불교와 직결되는 문양이 채택되거나 불교적인 정신세계가 문양을 통하여 표현되었다. 

 

불교를 바탕으로 하는 정신세계를 배경으로 그들이 남긴 미술 작품에는 시기에 따라 양식으로 변화하는데, 그 변화는 무신정권의 성립을 기준으로 하여 크게 전기·후기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전기는 신왕조 건설에 따르는 기백과 의욕에 넘쳐 건실한 작풍이 나타난 시기로, 석탑이나 석불의 제작에서 거대한 작품들이 나타나고 부도(浮屠)에서는 정교한 표면장식이, 공예부문에서도 청자의 비약적인 발전과 각종 금속제품의 발달로 나타났는데, 그 절정기는 아마도 문종(文宗) 때인 11세기 중엽으로 보인다. 이에 비하여 후기가 되면 목조건축의 가구형식(架構形式)의 변화, 도자기 요법(窯法)의 변화, 서화에서 원(元)의 서법이나 화법의 추종, 불상조각의 퇴보와 새로운 양식의 도입 등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귀족적 미감의 반영, 고려불화

불화(佛畵)는 불교적 신념을 담은 그림으로 불교의 세계관이나 부처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한국의 불화는 4세기 불교가 전파되었을 함께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삼국사기 열전 중 신라의 화가 솔거가 황룡사의 벽에 노송을 그렸다는 기록이 있다. 고려청자와 함께 우아한 화려함을 보여주는 고려불화는 귀족적인 미감을 반영한 것이 특징이다. 그 수는 현재 100여점이 알려져 있는데, 그 중 80여점 이상이 일본에 건너가 있다. 

 

이는 고려 말 왜구들이 약탈한 것으로 대부분 일본 사찰에 시주한 것이다. 고려불화는 국가의 안녕과 왕실의 번영을 바라는 왕족들의 주문과 가문과 개인의 안녕을 원하는 귀족들의 주문제작에 의해 제작되었다. 따라서 주문자들의 귀족적 취향이 잘 반영돼 있다. 고려후기에 들어서면 왜구의 침략과 권력다툼으로 인한 불안을 극락왕생으로 극복하려는 지배층의 요구에 따라 아미타여래(阿彌陀如來)․관음보살(觀音菩薩)․지장보살(地藏菩薩)을 그린 불화가 다수 제작되었다. 아미타여래는 미래의 부처로 서쪽의 극락세계에 살면서 중생의 극락왕생을 관장하는 부처이고, 관음보살은 자비로 중생을 구제한다는 보살이며, 지장보살은 미래의 부처인 미륵불이 오기 전까지 중생들을 구제한다는 보살이다.

 


대표작품

-미래의 부처 ‘아미타여래’

아미타란 이름은 산스크리트의 아미타유스(무한한 수명을 가진 것) 또는 아미타브하(무한한 광명을 가진 것)라는 말에서 온 것으로 한문으로 아미타(阿彌陀)라고 음역하였고, 무량수(無量壽)·무량광(無量光) 등이라 의역하였다.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에서는, 아미타불은 과거에 법장(法藏)이라는 구도자(보살)였는데, 깨달음을 얻어 중생을 제도하겠다는 원(願)을 세우고 오랫동안 수행한 결과 그 원을 성취하여 지금부터 10겁(劫) 전에 부처가 되어 현재 극락세계에 머물고 있다는 것이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고려불화이다. 아미타여래가 극락왕생하려는 사람을 맞이하는 자세로, 아미타여래 불화에서 자주 사용되는 양식이다. 붉은 바탕에 황금문양이 있는 가사(袈裟; 승려의 옷)와 발밑에 핀 연꽃 등에서 화려하고 귀족적인 고려불화의 특징을 잘 드러내고 있다.

 

극락세계에 있는 아미타 부처님을 맞이하는 내용이다. 이 작품의 특징은 빼어난 색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녹색과 붉은색, 청색의 광물안료로 다채롭게 장식했다. 특히 화면 뒤에서 안료를 칠하여 색이 앞으로 배어나오게 한 후 앞면에서 채색을 보강하여 선명하고 세련된 색감을 보여준다. 또한 곳곳에 금니(金泥)를 많이 사용해 화려함의 극치를 이루게 했다.

 

-깨달음을 통한 구원 ‘수월관음’

물에 비친 달을 뜻하는 수월(水月)은 비본질적인 것을 뜻하며, 물이 요동치면 곧 사라지게 되는 달과 같이 ‘인생의 덧없음’을 의미한다. 즉 수월관음은 중생들에게 인생의 비본질적인 것과 허무함을 깨우쳐 중생의 고통을 구제하는 관음보살이다. 

 

이 관음을 주제로 한 그림은 주로 남인도의 바다에 면한 보타락가산(補陀洛迦山)의 바위 위에 반가좌(半跏坐)의 모습을 한다. 이 반가사유(半跏思惟)의 모습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환상이, 꿈 또는 물에 비친 달이 덧없음과 같다는 것을 깨우침으로써 인생의 고난을 초월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라고도 생각된다. 이러한 관음신앙은 고려시대에 들어와서 더욱 발전하였으며, 이에 따라 이를 주제로 한 불화들도 많이 그려졌다.

 

고려의 수월관음도는 화엄경 입법계품에 실려 있는 설화에 근거하여, 진실한 구도의 뜻을 품은 선재동자가 깨달음을 찾아 떠난 여행에서 28번째 보타락가산 방문시 관음보살과 대면하는 장면을 묘사한 것이다. 

 

서구방(徐九方)이 1323년 제작한 이 작품은 화가와 제작연대, 주문인 등이 명확하게 밝혀진 수작이다. 좌측하단에 있는 선재동자의 도상은 고려불화에서 자주 등장한다. 화엄경에 나오는 젊은 구도자를 의미하는 선재동자는 깨달음을 얻기 위해 53명의 선지식을 차례로 찾아갔는데, 마지막에 보현보살을 만나 진리의 세계에 들어갔다고 전해진다.

 

이 작품은 현존하는 고려불화 가운데 가장 훌륭한 명품으로 손꼽히는 작품이다. 대부분의 고려불화는 비단 한 장에 그려지는데, 이와 같은 거폭의 비단이 존재하는 것은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 및 일본 회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특별한 사례이다. 기록에 의하면 충선왕의 왕비였던 숙비(淑妃)가 8명의 궁정화가를 동원하여 1310년 5월에 완성하였다고 한다. 작품은 당시 왕실 최고 권력자의 발원으로 최고의 기량을 자랑하는 화인들에 의해 공동 제작된 사실을 알 수 있다. 

 

현재 탈락되어 확인할 수 없으나 1812년 작성된 이노 타다타카(伊能忠敬)의 『측량일기(測量日記)』에 의하면 지대(至大)3년(1310)에 숙비가 발원하여 김우문(金祐文), 이계(李桂), 임순(林順) 등이 그린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불화는 1391년 승려 료우켄(良賢)이 지금의 가가미신사에 진상했다는 기진명(寄進銘)이 있어 제작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일본으로 건너갔음을 알 수 있다. 2009년 5월 통도사성보박물관 특별전을 통해 일반에 소개되었다.

 

 

뮤움 미술사연구팀 안현정 

Relevant information

썸네일

선사시대(구석기, 신석기)의 미술

한반도 석기시대 미술

썸네일

백제의 미술

세련된 우미(優美)의 창출

썸네일

고구려의 미술

호방한 고대문화의 보고(寶庫)

썸네일

발해의 미술

대륙에서 빛나는 고구려의 혼

썸네일

신라 및 가야의 미술

황금과 철기문화의 전성

썸네일

통일신라시대의 미술

불교미술의 절정

썸네일

고려시대 도자예술(고려청자)

고아한 비취색의 향연

썸네일

조선초기 도자예술

청·백의 조화로운 미감, 분청사기

썸네일

조선초기 회화예술

유교적 사색의 구현

썸네일

조선중기 도자예술

순수한 여백의 미학, 백자

썸네일

조선중기 회화예술

혼돈과 은거의 역사

썸네일

조선후기 도자예술

사치풍조의 반영, 청화백자

썸네일

조선후기 회화예술

조선 미술의 르네상스

썸네일

조선말기 민속공예

실용적인 일상생활의 투영

썸네일

조선말기 회화예술

회화의 전통계승과 대중화

썸네일

한국 근대미술

시대변화의 물결과 근대미술의 고뇌

썸네일

한국현대미술1

신미술운동의 시작과 모더니즘의 확산

썸네일

한국현대미술2

새로운 정체성의 추구와 다원화 현상

화살표
화살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