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그리고 존재 (Nature and Existence)

2010.11.20 ▶ 2010.12.05

갤러리 이레

경기 파주시 탄현면 헤이리마을길 48-12

Map

초대일시ㅣ 2010-11-20 16pm

  • 강혁

    35일간의 존재, 35개의 사과 (Being for 35 Days, 35 Apples) 디지털사진 2장, 4채널영상, 59.4x39.6cm 사진 2장, 소형 LCD모니터_2분, 2011, 개인소장

  • 강혁

    13일간의 존재 (Being for 13 Days) 디지털 프린트, 싱글채널 영상, 가변크기_3분7초, 2011, 개인소장

  • 강혁

    수평선 지평선 2 (Horizon 2) 디지털사진, 42x59.4cm, 2011, 개인소장

  • 강혁

    지평선 (Horizon) 디지털사진, 42x59.4cm, 2010, 개인소장

Press Release

이미지와 운동; 원인과 변화
정용도 / 미술평론가


자연의 변화는 이 지구 자체가 하나의 커다란 유기체라는 것을 전제로 생각할 때 가능해진다. 그리고 자연의 변화 속에 존재하는 현상들은 인간의 삶과 죽음과 같은 생명의 사건들과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즉 존재는 삶의 형식들이 전개되거나 자연의 순환적 현상들이 우주적인 범주로 규정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강혁의 작품에서 특징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은 그가 삶을 하나의 범주로 설정해 자연과 대비시킨다는 것이다. 그에게 자연은 객관적 대상이 아니라 삶의 형식들을 규정하는 법칙적인 질서를 가지고 있는 존재로서의 성격을 지향하는 것이다. 그래서 작가는 그의 작품에서 시간의 흐름 속에서 규정되는 질서에 대한 운동을 보여주려고 한다. 이런 지향성은 그의 주제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특징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유기체의 존재성은 변화와 운동 속에서 확대되는 생명의 과정을 기반으로 우연과 필연의 구조 속에서 하나의 내러티브적 양상으로 전개된다. 여기서 내러티브는 삶이 지니고 있는 시간적 역사성을 하나의 과정적 특징으로 구조화 시키는 의미의 구조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강혁의 작품에서 주제들은 전통매체 작품에서 자주 고려되어 왔던 것들이다. 그리고 그런 주제들의 기저에는 삶과 자연이라는 이 세계의 실존적 상황들에 대한 기억들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이는 작가가 예술에 대한 반성적 접근이 가지고 있는 의미의 경계들을 찾아내어 시각적으로 제시하는 주제적인 접근과 더불어 삶의 패턴들이 가질 수 있는 형식에 대한 접근에 관심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제적인 접근이 가지고 있는 특징은 많은 면에서 삶의 형식이 유발시키는 철학적 문제들과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삶의 형식이 드러내는 것은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작가는 현실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즉 그의 예술에서 중요한 한 축은 현실을 모방한다는 재현적인 입장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에게 현실은 자연과 인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자연은 그에게 질서를 부여하는 법칙과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고, 인간은 자연을 통해 변화 속에 존재하는 상황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작가는 이것을 시간에 대한 재현적 접근과 자연에 대한 주제적 접근으로 형식화 시킨다. <치유>와 같은 작품은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문제이다. 그는 현실로서의 작품이라는 상황을 경계의 개념을 통해 제시하는데, 그 경계는 시간과 존재를 실존적 상황 안에서 묶어 놓는 연결고리가 되기도 한다.

강혁은 자연과 삶의 경계에 대해 자신의 작가노트에서 “자연의 매질들이 만나 섞이고 부서지는 어떤 지점에 대한 경험은 무지개를 발견하는 즐거움에 견줄만하다”고 언급하고 있다. 그가 찾는 어떤 지점은 무엇일까. 그 지점은 작가가 경계로 설정해놓은 어떤 지점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여기서 경계는 재현과 환영(illusion) 그리고 상상력과 환상(fantasy)의 경계로 환원된다. 그의 작품에서 자연과 현실의 모방을 통해 만들어지는 주제와 미디어에 의해 만들어진 이미지들의 상상적 조합이 보여주는 형식적 특성들은 변화라는 자연 혹은 유기체의 조건들로 다시 환원된다. 여기서 작가의 작품이 가지고 있는 예술적 테제들은 앞에서 언급했던 자연과 인간의 경계에서 환영과 환상의 경계로 전이된다.

그의 작품에서 변화를 시각화 시키고 있는 것은 <바람나무, 2004>, <바람넝쿨, 2007> 과 같은 작품들이다. 이 작품들은 자연의 속성에 훨씬 더 밀착되어 있는 소피스트적인 언급이라고 할 수 있는데, 세계를 구성하는 가장 근본적인 특성은 ‘변화’라는 헤라클레이토스 같은 그리스 고대 소피스트 철학자들의 주장을 환기시키기 때문이다. 반면에 <치유 2003>, , 같은 작품들은 삶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변화 속에 종속되어 있는 존재의 특성을 인간이라는 테제 속에서 일반화시키는 문제는 근대철학의 중요한 과제였고, 모더니즘 미학과 철학에서 그 정점에 이르기도 했다. 즉 존재에 대한 반성적 접근이 기억을 만들어내고 기억의 상황이 존재에 대한 언급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었다. 자연이라는 커다란 모델 안에서 일종의 횡단을 시도하고 있는 인간적 삶의 특성들이 관계 맺을 수 있는 상황이 무엇인가라는 문제에 대한 관심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작가는 그의 사진작품 <바람나무와 애드벌룬, 2009>에 대해 “시간을 다루는 방식에 있어 영상과 시진은 많은 차이가 있다. 읽히는 방식에 있어서도 예외가 아니어서 서로가 갖고 있는 힘이 있는데, 이번 사진 작업을 통해서 보다 집약된 힘을 보이고자 한다”고 말한다. 이 사진작품은 20분가량의 장기노출을 통해 변화를 하나의 정지영상에 담은 사진작품이다. 즉 변화하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는 말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존재의 운동은 변화에 종속되어 있지만 결과적으로 운동 속에 존재하는 사물들은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고 극단적으로 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움직임의 속성에 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움직임은 부동성과 비교되어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서로 같은 속도로 움직이는 자동차는 거시적인 차원에서 보면 상대적인 움직임을 가지고 있지 않을 것이다. 단지 절대적인 운동의 상황에 대해서 언급할 수 있을 뿐이다. 즉 움직임은 정지 상태와의 비교 속에서 가장 잘 드러난다. 바람과 나무라는 제목의 구성요소에는 자연의 변화에 종속되어 있는 두 요소가 인간의 시각적 기억과 관련되는 정적인 특성, 즉 변화의 과정 속에서 어떤 순간을 기억하는 인간의 시각적인 기억이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서 우리는 사진이라는 정지이미지가 가지는 특성을 파악해야만 하고 또한 정지 이미지 속에 숨어있는 것이 무엇인가를 파악해야만 한다. 왜 작가가 움직임과 변화를 가장 자연스럽게 보여줄 수 있는 동영상 이미지가 아닌 사진을 통해 전작들의 연장선상에서 자신의 예술적 개념을 확장하고 있는지를 생각해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강혁의 작품에서 운동과 변화에 종속되어 있는 자연과 인간은 다른 한편으로 예술의 영원성이라는 차원에서 보면 의미의 결정체로서의 시간의 축적적인 상황이 대입된 존재로서의 성격과 관련되어 있다. 여기서 시간의 문제를 대입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인간에게 시간은 그것이 변화를 지칭하든 아니면 어떤 결정적인 순간을 지칭하든지 개념적인 것이다. 시간의 개념은 이 세계를 하나의 구조로 파악하는 객관적 시각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봄이 지나고 여름이 오고 시간이 지나면서 소멸해 가는 것들은 생명체의 특성으로, 시간의 개념에 의해 과정적인 진행으로서의 법칙적인 성격을 부여받는다. 법칙과 질서는 개념이고, 그런 개념들의 전개는 시간의 분절적인 특성에 의해 구체화 될 수 있는 것이다.

강혁의 작품에서 드러나는 이중적인 예술적 변주들의 조합은 자연과 인간이라는 가장 근본적인 조건들로부터 재현과 환상이라는 미디어적인 특수성을 통해, 움직임을 통해, 생명성과 정지 이미지를 통해 드러나는 생명성의 의미로 확장되어간다. 미디어적인 시각에서 본다면 아날로그적인 생명성과 디지털적인 생명성의 차이와, 그 차이로부터 발생하는 가치들의 변화에 대한 표현적인 동등성을 찾으려고 하는 작가의 예술적 언어들이 지향하는 개념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작가에게 ‘누구누구의’ 예술이라는 고유명사는 ‘존재’라는 일반명사로 확장되어가는 것이다. 이것은 작가가 정체성의 문제에 관해서는 많은 이야기를 하지 않고 있지만, 관객이 왜 그의 작품에서 존재라는 일반명사의 정체성에 대해 생각해보아야만 하는가를 이야기 해주는 것이다. 즉 작가는 탄생과 소멸 등의 인간조건들을 발생시키는 존재의 원인을 삶의 형식으로 변화시키고 있는 것이고, 그렇게 만들어진 삶의 형식들이 예술적 언급을 통해 스스로 존재하게 함으로서, 작가를 포함한 우리를 다른 차원의 개방성으로 인도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개방성은 그의 작품 전체를 이끌어가는 예술적 모티프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의 작품은 우리가 여전히 삶의 존재론적 조건들과 자연의 일반성을 통해 스스로를 기억해야만 한다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Image and exercise: cause and change
Chung Young-do / Art Critic


The change in nature is a concept that can be grasped when one thinks of earth as a giant organism. Events like birth and death of humans are closely linked to changes and events in nature. It goes to show how life unfolds or events in nature takes place in a universal framework. One of the key characteristics of Kang’s piece is putting life as one of the categories to be compared with nature. To Kang, nature is not an objective subject, but rather an existence with order and one that defines forms of life. In his piece, Kang tries to show the movement of order defined by flow of time. This trait is a common theme seen throughout his works.

The definition of existence of an organism is shown in a narrative through coincidences and necessity, and is based on life’s processes which are expanded through changes and movements. The narrative can be perceived as a structure that defines time’s historical element as one process. Kang’s themes had been covered by many others in the traditional media. At the base of such themes, memories of actual situations, of life and nature are embedded. Kang’s approach explores boundaries of meanings through his self-reflection of art and expresses it in a visual manner. It also goes to show his interest in approaching his themes through forms of life patterns.

Key features of the thematic approach are similar to philosophical questions raised by the way of life in many aspects. The way of life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s. Thus, Kang is telling a tale of reality. In other words, one of the key areas of his art is an aspect of replicating reality. To Kang, the reality is a mix of nature and humans. The nature lends him the rules of order, while humans have situational characteristics of existing in the midst of changing nature. Kang gives this notion a form through replication of time and by approaching nature as a subject. The work deals with issues between nature and humans. Kang presents his works in reality through ideas of borders, and the border also acts as a link to tie time and existence within the given situation.

In his notes regarding the borderline between nature and life, Kang says “the experience from a certain point in the interaction of nature’s mediums; meeting, melting into each other and breaking down, can be likened to discovering a rainbow.” What is the “certain point” that he is seeking? It must be somewhere along the border that the artist has determined. The border in this case, is reproduction and illusion, and imagination and fantasy. The topics created through imitation of nature and reality and combination of images created by media are restored to nature’s or organism’s characteristics. At this point, the artistic thesis yields to the border of illusion and fantasy from the border of nature and man.

Kang’s works that visualize changes are “The Wind Tree, 2004” and . These works are sophist expressions with closer ties to nature’s attributes. Kang reiterates ancient Sophists’ notion, such as Herakleitos’ thoughts that the most basic element of the world is defined as “change.” On the other hand ,” , and are direct commentary on life. Separating identity, which is imbedded in changes and generalizing it through thesis on humans was an important breakthrough for modern philosophy, and it peaked with modern aesthetics and philosophy. Reflection on existence formed memory and situations in the memory allowed existence to be discussed. The attempt can be interpreted as an interest in how to form relationships with traits of humans’ attempts at crossing the giant model called nature.

When it comes to his photographic works, handles time quite differently. The way it impacts viewers are also different, each medium striking its viewers in a different way.” Kang added, “I wanted to show its intensified powers through my latest work.” Kang’s latest collection records changes in film through roughly 20 minute exposure. Thus one may be able to say, what changes may not exist; movements by an existence is a part of change, but one can go on an extreme to say that an existence is a part of change, but matters that exist within movements do not exist. We, as the audience need to reflect on the properties of movement.

Movement can also be defined by its comparison to stability. Automobiles moving at the same speed do not have relative movement in a macroscopic scale. They can only attest to movement in a sense of absolute movement. Therefore movement is best distinguished against objects in suspension. In the piece, the wind and the tree, two elements that are subject to nature’s changes shows passive characteristics related to man’s visual memory. Viewers need to first figure out what the frozen Image represents in addition to the hidden element placed inside that image. Viewers need to reflect why he chose the photograph to show movements and change, rather than the most natural medium of video in furthering his artistic vision.

The nature and man represent movement and change when seen as art permanence, it can take on characteristics of a being that substitutes Compression of time when viewed as final representation of meaning. The issue of time can be substituted there. To humans, time is a concept that can either represent change or a crucial moment. The concept of time can explained by and related to an objective view that is understood by those that views the world as a structure. Spring turns to summer and as time passes, life naturally perishes. And because of this characteristic, the concept of time receives its law through scientific progression. Law and order is a concept and can become concrete through time’s trait of segmentation.

The combination of two-sided artistic variation revealed in Kang’s work expands all the way to the meaning of life through extractions of very basic conditions,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recreation and illusion, and through movement. From the viewpoint of the media, Kang’s attempts can be explained as artistic concepts sought by the artist as he seeks to find equivalence of expression between differences among analog meaning of life and digital meaning of life. In other words, using the proper noun, a piece with the “name of the artist” expands into a general noun, “existence.” Meaning, artists do not really talk about the issue of identity, but shows why the audience needs to think about the identity of the general noun, “existence.” An artist transforms the cause of human traits of birth and demise, basically the reason for existence. Furthermore, the artist helps various forms of life to exist on its own through artistic expressions, leading the audience, as well as the artist himself into the next level of openness. That openness can even be called the artistic motif that leads his piece. Though his work, Kang speaks volumes about the fact that we all need to remember our existence through conditions for life’s existence and the generalness of nature.

부유, 현상, 그리고 시선의 깊이
윤진섭(미술평론가/호남대 교수)


강혁의 작업은 매체나 소재 면에서 매우 다양하다. 매체는 회화, 오브제, 영상, 설치, 사진에 걸쳐 있으며, 주제는 자연과 문명, 가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문명과 자연이 주 주제로 등장하고 있어 이 두 개념이 작업의 축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자연과 문명이란 주제의 채택은 사실 양의 동서를 막론하고 많은 작가들에게서 나타나는 보편적 현상이기 때문에 자칫하면 진부해 보일 수 있다. 그것은 상투적으로 보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잘못 접근하면 관념적으로 느껴질 위험마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작가들이 이 주제에 맞춰 작업을 진행하는 이유는 자연과 문명이 인간 존재의 근본적 토대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강혁은 2005년에 인천문화예술회관에서 가진 첫 개인전에서 문명을 주제로 작품을 발표한 바 있다. 그의 <문명> 시리즈는 주변에 산재해 있는 옷가지들과 폐기처분된 일상용품을 오브재로 사용한 것이다. 그는 스스로 이 시리즈를 가리켜 ‘추상표현주의적 정크 페인팅’의 일종이라고 불렀다. 태우거나 ‘드리핑(dripping)’한 오브제를 캔버스에 부착하여 행위성을 강조했기 때문에 스스로 그렇게 명명하지 않았나 짐작해 본다. 그러나 강혁의 작품이 기존의 추상표현주의나 정크아트와 다른 점은 페인팅에 영상을 투사하여 회화와 영상이라는 두 매체 사이의 결합을 시도한 점이다. 그는 캔버스에 고착된 사물과 이미지에 작품 제작 과정을 담은 영상을 투사함으로써 “시간성과 빛의 개입”(강혁)을 시도한 것이다.
2007년, 스페이스빔 우각홀에서 가진 두 번째 개인전에서 강혁은 자연에 대한 관심을 드러냈다. 그는 주제를 ‘경계속의 시간’으로 설정하고 영상을 통해 자연과 일상적 삶의 여러 단면들을 통해 시간성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드러냈다. 자연 대상으로는 담쟁이 넝쿨의 생태적 변화와 비가 내리는 장면을, 일상적 삶의 단면으로는 정신장애가 있는 작은 아버지의 초상(<자화상>, 1.5x2m, 스크린, 빔 프로젝터, 2007)과 복도를 지나가는 학생들의 일상적 단편을 사진에 담아 제시하였다. 이 시기 그의 관심은 비단 여기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창밖의 풍경을 영상으로 대신하여 투사하거나, 비행기에서 바라본 바다의 파도치는 장면, 운동장에서 노는 아이들의 동작을 작은 모니터를 통해 투사한 것 등 시점의 문제를 아울러 제시하고 있다.

대상에 대한 강혁의 예리한 관찰은 시간의 함축과 극미의 세계를 통해 드러난다. 가령 시간의 함축은 <바람넝쿨>(Beam Projector, 3x2m, 2007)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2년간에 걸쳐 촬영한 담쟁이 넝쿨을 3분짜리 동영상으로 편집하여 사계의 변화를 보여주는 작품을 통해 드러나고, 극미의 세계는 파도치는 바다의 표정을 비행기 안에서 부감법으로 포착하여 작고 둥근 거울에 투사한 작품(<풍경>, Circle mirror, Slim Monitor, 0.3x0.3x0.2m, 2006)과 달리기를 하는 학생들이 보이는 운동장 풍경을 망원렌즈로 포착, 작은 모니터를 통해 투사하여 실제 보는 것보다 훨씬 더 멀리 보이게 한 <시선>(2007)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시간의 함축은 또한 정신장애를 앓고 있는 작은 아버지의 초상을 통해 인간에 대한 문제를 제시한 <자화상>에서도 볼 수 있다. 그는 자화상이란 명제를 붙였지만 정작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은 작가 본인이 아니라 작은 아버지이다. 모핑(morphing) 기법으로 제작된 이 작품에서 중요한 것은 인간에 대한 연민의 감정이다. 한 정신장애자의 표정을 통해 지난한 삶을 응축적으로 드러내고 그럼으로써 인간에 대한 보편적 감정을 환기하고자 한 작품이다.

인간의 보편적 감정에 대한 환기 또한 작업의 초기에 강혁이 관심을 쏟은 주제다. <자화상>(2007)의 전편으로 1999년에서 2000년 사이에 제작한 시리즈는 인간의 감정(공포, 회한, 두려움 등)에 대한 문제를 다룬 첫 작품으로 이것은 2001년 작인 <아버지의 꿈>을 통해 유년시절에 체험한 가족들의 끈끈한 유대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는 다시 <치유 2003>로, 다시 <치유 2009>로 연결된다. 2003년과 2009년의 <치유>에서는 자연과의 교감을 통한 영성의 회복이란 주제가 영상작업으로 선명하게 부각되고 있다.

강혁의 작업에서 특히 나의 관심을 끈 것은 <부분과 전체 2009>이다. 이 작품은 특정 학교, 특정 학년에 재학 중인 여중생 500명을 차출하여 반별로 명함사진을 합성하여 완성된 것이다. 포토샵의 레이어를 이용하여 인물의 미간을 중심으로 합성하였는데 그 결과는 인물의 모습이 마치 쌍둥이처럼 비슷하다. 개체성과 전체성, 개성과 획일화에 대한 문제를 사진을 통해 제기하고 있는 강혁의 이 작품은 김아타나 서도호의 작업에서 나타나는 합성의 문제와는 다른 관점을 제시하고 있어 주목된다. 김아타와 서도호의 작업이 다양한 성별(김아타)과 개인적 체험에 근거한 다양한 인종의 인물사진(서도호)을 합성하여 중성적인 인물의
이미지를 창출하고 있는 반면, 강혁의 경우는 같은 신분(여중생)에 같은 성(여성), 같은 연령(십대), 같은 정체성(한국인)의 대상을 표본 추출, 같음과 다름의 문제를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또한 획일화한 유니폼 문화에 대한 풍자와 함께 디지털 합성을 통한 사실 조작의 문제에 대한 강한 이의 제기(가령 디지털 합성에 의한 이미지 조작이 범죄에 악용되거나 정치적으로 이용돼 각종 인권 유린의 문제를 낳는 각종 사회 현상에 대한 문제나 성형수술과 같은 몸 담론을 둘러싼 현상들 따위)가 드러나고 있다.

이상 살펴본 강혁의 작업을 요약하자면 대략 두 가지의 접근 태도가 드러난다. 그것은 첫째 인간의 감정 문제를 다룬 내향적 방법(inward method), 둘째 자연과 문명을 다룬 외향적 방법(outward method)으로 분류된다. 작가의 시선을 중심으로 안과 밖으로 향하는 이 지향(인간)과 투사(자연, 문명)의 방법론은 다같이 시간의 축(x)과 공간의 축(y)의 교차점에서 이루어진다. 그 중심에 작가 강혁이 존재하고 있으며, 그의 시선은 늘 현재진행형으로 움직이고 있다.

Floating, Phenomenon and
the Depth of Gaze
YOON Jin-sup
Honam University Professor, Art Critic


Kang Hyuk’s works take a wide variety of artistic media and themes. The media include paintings, objet, images, installations and photographs, and the themes encompass nature, civilization and family. Among others, his main themes are nature and civilization, which Kang’s works pivot on. Nature and civilization, the universal theme for artists, whether Eastern or Western, might sound outmoded, and a wrong approach to it might even end up conveying an abstract idea. However, nature and civilization is the very foundation of human existence, and that is why many artists continue to embrace this theme.

Kang’s first solo exhibition at Incheon Art Center in 2005 was dedicated to civilization. The Civilization Series employ scraps of clothing and everyday refuse as artistic objet. The artist attached them to the canvas after burning or “dripping” them. The abstract expressionist junk paintings, the title that Kang himself gave the series, seemingly reflects the emphasized aspect of action. However, Kang’s work is different from other abstract expressionist paintings or junk art in his attempt to combine paintings and photographic images by projecting images on paintings. He experimented with “the intervention of temporality and light (Kang Hyuk)” by projecting the process in which his work is produced on the objects and images fixed to the canvas. In the second solo exhibition at Space Beam Gallery in 2007, Kang revealed his interest in nature. On the theme of “The Time in a Boundary,” the artist got across his idea about temporality through different fragments of nature and life. Nature is represented by the biological changes of ivy and rain, while life is expressed by the artist’s uncle suffering from a mental disorder (Self Portrait, 1.5x2m, Screen, Beam Projector, 2007) and students walking along a school corridor. He also draws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viewpoint by projecting a landscape out of a window, as well as waves seen from an airplane and children on a playground.

Kang’s close observation of objects is witnessed in the form oftime compression and views of the microscopic world. Wind Vine (Beam Projector, 3x2m, 2007) is a 3-minute video of ivy, which represents the time compression by showing the changes of all four seasons, with shooting extending over a period of two years. The microscopic world is presented in Landscape (Circle Mirror, Slim Monitor, 0.3x0.3x0.2m, 2006) and One’s Gaze (2007). Landscape is a bird eye view image of sea waves projected on a small circular mirror, while One’s Gaze (2007) is a image of students running in a schoolyard captured by a telephoto lens and projected through a small monitor so that the image looks farther away than it really is. Another piece of work that shows the compressed form of time is Self Portrait, which raises the question of what it means to be human. Despite the title, it is the
portrait of the artist’s uncle who is mentally ill. Employing the morphing technique, Self Portrait expresses sympathy towards humanity. The expressions appearing on a mental patient for a couple of minutes represent a life full of misery, and evokes humanitarian feelings towards other human beings.

Arousing universal human feelings is also Kang’s primary theme in his early years. Self Portrait (2007) was developed from Composition Series (1999 – 2000), his first work dealing with human feelings (fear, regrets, anxiety, etc.) and this element runs through Father’s Dream (2001) and Healing (2003 and 2009). Father’s Dream is about the strong family bond that the artist experienced as a child, while Healing (2003) and Healing (2009) clearly show the recovery of divinity through communing with nature.

What especially interested me among Kang Hyuk’s works was The Total with the Part (2009). Kang picked 500 girls from a single grade at a particular middle school and composed the pictures of the girls from each class. The result is that the composed pictures look so similar it is as if they were duplicated. The Total with the Part brings up the issues of individuality and totality, personality and uniformity, through photographs, but his approach to the issue of photocomposition is different from those of Kim Atta or Suh Doho. While Kim and Suh create images of neutral figures by composing people of different sexes (Kim) or races (Suh), Kang picked people of the same social status (middle school students), the same gender (female), the same age and the same nationality (Koreans) to deal with the issue of likeness and difference. He also lampoons cultural uniformity, and strongly criticizes the use of digital image composition for distortion of facts (in such cases as photocomposition for criminal or political purpose, a practice which often results in human rights abuses, and also the distortion of a body image and its complex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plastic surgery boom).
Kang Hyuk has two main approaches in producing his work. First is his inward method of dealing with human feelings, and the second is his outward method approaching nature and civilization. With the artist’s view at the center, both approaches take place at the crossing of time (x) and space (y). The artist is at the very center of them, and his gaze is always on the move. Kang Hyuk’s works take a wide variety of artistic media and themes. The media include paintings, objet, images, installations and photographs, and the themes encompass nature, civilization and family. Among others, his main themes are nature and civilization, which Kang’s works pivot on. Nature and civilization, the universal theme for artists, whether Eastern or Western, might sound outmoded, and a wrong approach to it might even end up conveying an abstract idea. However, nature and civilization is the very foundation of human existence, and that is why many artists continue to embrace this theme.

Kang’s first solo exhibition at Incheon Art Center in 2005 was dedicated to civilization. The Civilization Series employ scraps of clothing and everyday refuse as artistic objet. The artist attached them to the canvas after burning or “dripping” them. The abstract expressionist junk paintings, the title that Kang himself gave the series, seemingly reflects the emphasized aspect of action. However, Kang’s work is different from other abstract expressionist paintings or junk art in his attempt to combine paintings and photographic images by projecting images on paintings. He experimented with “the intervention of temporality and light (Kang Hyuk)” by projecting the process in which his work is produced on the objects and images fixed to the canvas.

In the second solo exhibition at Space Beam Gallery in 2007, Kang revealed his interest in nature. On the theme of “The Time in a Boundary,” the artist got across his idea about temporality through different fragments of nature and life. Nature is represented by the biological changes of ivy and rain, while life is expressed by the artist’s uncle suffering from a mental disorder (Self Portrait, 1.5x2m, Screen, Beam Projector, 2007) and students walking along a school corridor. He also draws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viewpoint by projecting a landscape out of a window, as well as waves seen from an airplane and children on a playground.

Kang’s close observation of objects is witnessed in the form of time compression and views of the microscopic world. Wind Vine (Beam Projector, 3x2m, 2007) is a 3-minute video of ivy, which represents the time compression by showing the changes of all four seasons, with shooting extending over a period of two years. The microscopic world is presented in Landscape (Circle Mirror, Slim Monitor, 0.3x0.3x0.2m, 2006) and One’s Gaze (2007). Landscape is a bird eye view image of sea waves projected on a small circular mirror, while One’s Gaze (2007) is a image of students running in a schoolyard captured by a telephoto lens and projected through a small monitor so that the image looks farther away than it really is. Another piece of work that shows the compressed form of time is Self Portrait, which raises the question of what it means to be human. Despite the title, it is the portrait of the artist’s uncle who is mentally ill. Employing the morphing technique, Self Portrait expresses sympathy towards humanity. The expressions appearing on a mental patient for a couple of minutes represent a life full of misery, and evokes humanitarian feelings towards other human beings.

Arousing universal human feelings is also Kang’s primary theme in his early years. Self Portrait (2007) was developed

전시제목자연 그리고 존재 (Nature and Existence)

전시기간2010.11.20(토) - 2010.12.05(일)

참여작가 강혁

초대일시2010-11-20 16pm

관람시간10:00am~18:00pm 주말 오전10부터 오후7시까지

휴관일월요일

장르미디어와 공연예술

관람료무료

장소갤러리 이레 Gallery Jireh (경기 파주시 탄현면 헤이리마을길 48-12 )

연락처031-941-4115

Artists in This Show

강혁(Hyuk Kang)

1972년 출생

갤러리 이레(Gallery Jireh) Shows on Mu:um

Current Shows

화살표
화살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