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은 구멍으로, 밤으로 들어가 먹히듯 몸이 되었습니다

2018.05.16 ▶ 2018.06.17

아트 스페이스 풀

서울 종로구 세검정로9길 91-5 (구기동)

Map

초대일시ㅣ 2018년 05월 16일 수요일 05:00pm

  • 강동주

    Light Trail 종이와 나무에 잉크, 59.4x42cm (각), 2018

  • 이미래

    그 하얀 애; 오필리아의 내장 철제 오브제, 실리콘 호스, 파이프, 물티슈, 유토에 윤활제 및 혼합 재료, 약 40x50x220(cm) / 가변설치, 2018

  • 장서영

    롱 디스턴스 릴레이션십 3채널 영상, 6분 30초, 2018 / 알루미노실리케이트유리, 사운드, 가사 프롬프터, 3분 45초, 2018

Press Release

네이버 헬로!아티스트는 오는 16일(수)부터 다음달 17일(일)까지 대화 속 상상력을 회화, 설치미술 영상 등으로 풀어낸 전시 <눈은 구멍으로, 밤으로 들어가 먹히듯 몸이 되었습니다>를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아트 스페이스 풀(이하 ‘풀’)에서 연다. 시각예술 창작자 지원사업인 헬로! 아티스트는 작가 강동주, 이미래, 장서영의 신작 전시 제작뿐만 아니라 아트 스페이스 풀의 전시 및 운영을 후원했다.

이번 전시는 헬로!아티스트 강동주, 이미래, 장서영 등 3명의 작가와 전시를 기획한 3명의 큐레이터간의 대화에서 서로의 상상력을 확장하며 받은 자극이 영감의 토대가 됐다. 대화 속에서 외국어 자동번역기를 통해 우연히 나온 오류의 문장을 다듬은 것이 전시 명칭이 됐다. 이 대화의 기록은 “인간의 ‘이상함' 혹은 ‘비정상성’에 관한 백과사전"이 되어 작가의 신작으로 시각화 되었다.

이번 전시는 공통적으로 신체 접촉, 반복되거나 지연되는 시간, 극복할 수 없는 거리에 주목했다.
강동주 작가는 ‘몸’을 지나간 흔적들에 주목해 신발을 닦아낸 티슈, 밤에 창 밖으로 보이는 비행기의 궤적을 반복해서 기록한 회화 작품을 전시한다.
이미래 작가는 ‘식욕’을 키워드로 보어 페티쉬(vore fetish, 살아 있는 상태로 먹히거나 다른 생물을 먹는 것에 대해 환상을 품는 페티쉬)를 담아낸 설치 작품을 선보인다.
또한 장서영 작가는 가까워질 수 없는 사랑에 관한 대화를 연예인 ‘팬픽’(팬이 쓴 픽션)과 성가곡의 형식을 빌어 전시할 예정이다.

이번 전시는 작가와 기획자의 창조적 협력보다는 ‘성과의 물질적 가시화를 위한 이벤트’가 되어 버린 요즘 전시 경향에 대한 작가-기획자 6인의 대화 기록을 시각화하여 서로의 상상력을 확장한 작품을 전시한다.

안소현 큐레이터는 “작가-기획자의 창조적인 협력 과정 속에서 대화 기록들이 작품으로 구현되는 비정상적인 경계를 탐구해 보고자 했다”고 기획 취지를 밝혔다.

이번 전시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6시까지(매주 월요일 휴관) 관람이 가능하며 자세한 전시 정보는 네이버 헬로!아티스트 (https://goo.gl/ZA1HK7)와 아트 스페이스 풀 홈페이지(www.altpool.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헬로!아티스트는 현대미술의 문턱을 낮춰 대중과 소통하자는 취지로 2013년 6월 시작한 네이버문화재단의 창작자 지원 사업이다. 대중들이 시각예술에 보다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온라인 콘텐츠로 작가들을 소개하고 창작활동과 전시 기회를 지원하고 있다. 특히 기존 미술평론가나 비평가 또는 미술계 수용자의 정형화된 작가 소개 방식에서 벗어나 작가가 직접 자신의 목소리로 작품과 작업 이야기를 하여 대중들의 호응을 받고 있다.


강동주, Light Trail, 종이와 나무에 잉크, 59.4x42cm (각), 2018
강동주의 은 지난 2016년 1월부터 약 6개월간 뉴욕에서 체류하며 기록한 것들로부터 파생되었다. 그간 공간을 관찰하고 시간의 궤적을 쫓으며 움직임이 풍경에 남긴 것들을 연필과 먹지 드로잉으로 기록해왔던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뉴욕이라는 낯선 장소성과 시간을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드러내고자 한다. 은 외출 후 신발의 먼지를 닦으며 사용했던 티슈를 스캔해 책으로 엮은 작품이다. 은 아파트 창으로 본 비행기의 궤적을 드로잉으로 기록하고, 그 드로잉을 목판화로 옮겨온 작업이다. 신발에 남겨진 얼룩은 바깥의 시간과 운동성을 고스란히 품고 있지만 정작 행위 자체를 추적하기에는 너무나 모호하다. 사선을 긋는 밤 비행기의 궤적 역시 존재의 구체성을 추측하기엔 형태가 상당 부분 결여되어 있다. 작가는 재현을 완결 짓는 과정에서 발생된 규칙을 꾸준히 지켜 나간다. 신발을 닦고, 창밖의 풍경을 일정한 조건 아래 반복해서 기록하며, 새로 시도한 목판화는 각 과정을 빠짐없이 지켜야만 만족스러운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그렇게 반복된 규칙들을 통해 만들어진 이미지들은 같지만 미묘하게 다른 풍경들의 연속이다. 작가의 관심은 대상을 평면으로 옮겨와 구체적으로 재현하는 것에 있지 않다. 스스로 작업 과정을 ‘번안’으로 비유하듯, 대상을 드러냄에 있어 옮겨지고 있는 환경의 특수성과 현재성, 대상이 안착하는 평면의 공간감, 대상과 공간을 매개하는 작가의 위치 등 여러 관계와 그 긴장을 환기시키는 요소 역시 화면에 담아내고자 한다. 그러니까 움직이던 것들이 움직이고 있는, 경험했던 것들이 경험되고 있는 시간의 흐름을 담으며, 대상을 쓰임이나 용도로 설득하지 않고 주변과 관계 맺고 있는 존재 자체의 오롯한 상태를 보여주고자 함이다.


이미래, 그 하얀 애; 오필리아의 내장, 철제 오브제, 실리콘 호스, 파이프, 물티슈, 유토에 윤활제 및 혼합 재료, 약 40x50x220(cm) / 가변설치, 2018
이미래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일반적인 언어로 표현되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원초적 욕구와 그에 따른 행위들에 주목하는데 그 중에서도 ‘식욕’은 이번 신작의 키워드라고 할 수 있다. 작가는 보어 페티쉬(vore fetish, 살아 있는 상태로 먹히거나 살아 있는 다른 생물을 먹는 것에 대해 환상을 품는 것)라는 하위문화에 관심을 두고, 이와 연관된 실험들을 조각, 사운드와 설치로 구현한다. 포르노의 한 장르를 패러디 해 작가가 직접 만든 정체 모를 음식으로 백인 남성과의 거래를 시도하는 동양인 여성(작가)의 목소리를 재생시키거나, 각종 구조물들을 엉켜내어 마치 내장이 쑤셔 박힌 듯한 조각을 제작하고, 장기의 일부를 연상시키는 미끈거리고 긴 형태가 전시장 바닥을 움직이며 돌아다니게 만든다. 이렇듯 작품은 견고함과 부드러움, 대상화된 백인 남성을 유혹하는 동양인 여성, 엉망으로 조합되어 결국 맛도 형태도 알 수 없는 이름 없는 음식물 등 서로 반대의 성향을 가진 것들이 혼합되면서 흔히 ‘정상’이라고 일컬어지는 인식 구조 안에서 벗어난 존재들로 구성된다. 때문에 작품은 쉽게 설명되거나 설명하기 쉽지 않다. 이렇듯 작가는 대상에 대한 보편적인 탐닉 행위인 식욕을 통해 원초적이고 동물적인 감각이 주가 되는 상황을 구축하여 이해되지 못한 욕망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장서영, 롱 디스턴스 릴레이션십, 3채널 영상, 6분 30초, 2018 / 알루미노실리케이트유리, 사운드, 가사 프롬프터, 3분 45초, 2018
물리적 시공간, 차원의 변화 등을 신체의 제약과 연결하는 것에 깊은 관심을 보여온 장서영은 이번 전시에서는 좁힐 수 없는 거리와 시차를 경험하는 사람들의 사랑에 관한 영상 작품을 선보인다.
이 작품에는 세 종류의 '지나치게 멀고도 가까운' 사랑이 마구 뒤섞여 등장하는데, 장거리 연애, 속칭 '롱디'(long distance relationship)의 사랑, 연예인에 대한 팬들의 동경, 그리고 신에 다가가고자 하는 종교인의 사랑이 그것이다. 화상통화로 만족해야 했던 연인은 마침내 모니터의 검은 유리 액정과 '이온교환'을 할만큼 지나치게 가까워져버린다. 이 물질적 사랑은 종교적 삼면화를 연상시키는 3대의 검은 모니터 속에서 살짝 눈을 뜬 채 잠든 사람의 모습에서, 또 그 화면 위로 덮히는 연예인을 동경하는 팬이 쓴 '팬픽션' 스타일의 텍스트로 구현된다(롱 디스턴스 릴레이션십). 삼면화 뒤로는 ‘XOXO’(채팅 용어로 ‘포옹과 키스(hugs and kisses)’를 뜻함)가 새겨진 유리창이 경건한 빛을 드리운다. 그리고 작은 화면에서는 성가풍의 노래가 흘러나오고 라틴어, 영어, 한국어 노래 가사가 천천히 지나간다(<알루미노실리케이트유리>). 이 노래는 액정과 사랑에 빠진 연인의 생생한 마음을 그레고리오 성가 중 자비송(慈悲誦)으로 불리는 <키리에(Kyrie)>에 사어(死語)인 라틴어 가사를 붙인 것이다. 작가는 텍스트의 문체, 노래의 시대적 양식과 언어, 매체의 재생방식(화상통화, 종교적 삼면화) 등을 통해 시공간의 멂과 가까움을 교차시킨다.


강동주(1988)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사를 졸업한 후 동대학원 조형예술학과를 졸업하였다. 개인전 《서울》(두산갤러리, 뉴욕, 2016), 《전야》(두산갤러리, 서울, 2015), 《부도심_청량리 영등포 청량리》(OCI미술관, 서울, 2013), 《정전》(누하동256, 서울, 2012)을 열었다. 주요 단체전으로는 《두 번째》(원앤제이플러스원, 서울, 2018), 《우리는 별들로 이루어져 있다》(두산갤러리, 서울, 2018), 《취미관》(취미가, 서울, 2017), 《일상 여행하는 법》(일현 미술관, 양양, 2016), 《굿-즈》(세종문화회관, 서울, 2015), 《1/2》(시청각, 서울, 2015), 《뉴 스킨》(일민 미술관, 서울, 2015), 《30분과의 마주침》(800/40, 서울, 2015), 《오늘의 살롱》 (커먼센터, 서울, 2014), 《ILHYUN TRAVEL GRANT》(일현 미술관, 양양, 2013), 《검은 사각형》(gallery 101, 서울, 2013)등에 참여하였다. 2016년 두산레지던시(뉴욕)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2017년 네이버 헬로!아티스트 89번째 작가로 소개되었다. 2014년 두산문화재단의 두산 연강 예술상, 2013년 OCI 미술관의 OCI YOUNG CREATIVES, 2013년 일현 미술관의 ILHYUN TRAVEL GRANT을 수상하였다.

이미래(1988)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와 영상연합매체를 복수전공하였다. 개인전 《낭만쟁취》(인사미술공간, 서울, 2014), 《앞에서 본 누락》(온그라운드_지상소, 서울, 2014)을 열었다. 주요 단체전으로는 《It is a lover who speaks and says》(Homesession, 바르셀로나, 스페인, 2017), 《무빙/이미지》(아르코 미술관, 서울 2017 모빌, 두산갤러리, 서울, 2017), 《A Snowflake》(국제갤러리, 서울, 2017), 《Read my Lips》(합정지구, 서울, 2017), 《Do it 2017,Seoul》(일민 미술관, 서울, 2017), 《상점 속 예술, APAP5》(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 안양, 2016), 《네리리 키르르 하라라:미디어시티 서울》(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16), 《Andrea》(Cité Internationale des Arts, 파리, 2016), 《Old Tactics New Pleasur》(Rue Geoffrey l'Assnier 20, 파리, 2016), 《굿-즈》(세종문화회관, 서울, 2015), 《팔이 긴 모터 조각과 자존을 생각한 공간》(공간413, 서울, 2015) 등에 참여하였다. 2018년 라익스아카데미(Rijksakademie van beeldende kunsten)(네덜란드), 2017년 서울시립미술관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2015년 파리국제예술공동체(Cité Internationale des Arts)(파리)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2017년 네이버 헬로!아티스트 87번째 작가, 2014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차세대예술인력육성사업. 2013년 서울문화재단 서교예술실험센터 유망예술지원 99℃에 선정되었다.

장서영(1983)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조소과 졸업 후 독일 베를린예술대학 Art in Context 석사를 졸업하였다. 개인전 《블랙홀바디》(CR Collective, 서울, 2017), 《In the Box》(경남도립미술관, 창원, 2012), 《무력의 불안》(Space Zip 갤러리, 서울, 2010)을 열었다. 주요 단체전으로는 《아크로바틱 코스모스》(원앤제이 갤러리, 서울, 2018), 《비일상다반사》(우민아트센터, 청주, 2018), 《스노우 스크린》(아카이브 봄, 서울, 2017), 《비디오 포트레이트》(토탈미술관, 서울, 2017), 《덕수궁 속의 현대미술-궁전》(덕수궁 준명당, 서울, 2016), 《다른 방식의 O》(두산갤러리, 서울, 2015), 《Now&After’15》(Shchusev State Museum of Architecture, 모스크바, 러시아, 2014)등이 있으며, 《Until Your Name is Called》(Observation deck, 서울, 2018), 《Returning to Sender》 (Haus der Kulturen der Welt, 베를린, 독일, 2014)등의 스크리닝에 참여하였다. 2018년 챕터투 레지던시, 2017년 인턴아트플랫폼 그리고 2016년 국립현대미술관 고양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2017년 네이버 헬로!아티스트 105번째 작가로 소개되었다. 2017년 서울문화재단 예술작품지원, 2014년 제 14회 서울 국제 뉴미디어 페스티벌 뉴미디어아트상, 2011년 제 8회 부산 국제 비디오아트 페스티벌 우수상 등을 수상하였다.

전시제목눈은 구멍으로, 밤으로 들어가 먹히듯 몸이 되었습니다

전시기간2018.05.16(수) - 2018.06.17(일)

참여작가 강동주, 이미래, 장서영

초대일시2018년 05월 16일 수요일 05:00pm

관람시간월~일요일 11:00am - 06:00pm

휴관일매주 월요일 휴관

장르회화, 영상 및 설치

관람료무료

장소아트 스페이스 풀 (서울 종로구 세검정로9길 91-5 (구기동) )

주관아트 스페이스 풀

후원네이버문화재단

연락처02-396-4805

Artists in This Show

강동주(Gang Dongju)

1988년 출생

장서영(Seoyoung Chang)

1983년 서울출생

아트 스페이스 풀() Shows on Mu:um

Current Shows

화살표
화살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