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페이지 _ Blank Page

2017.05.24 ▶ 2017.08.31

금호미술관

서울 종로구 삼청로 18 (사간동, 금호미술관)

Map
  • 전시포스터

  • 김주리

    일기(一期)생멸(生滅) Ⅱ 2017

  • 문준용

    비행 2017

  • 박여주

    불안한 여행 2015

  • 박제성

    여정 2015

  • 박여주

    트와일라잇 존 lll 2017

  • 박재영

    아일랜드 에피소드-스쳐 지나가던 사람들 2017

  • 진달래&박우혁

    패턴 연습 2017

  • 양정욱

    저녁이 돼서야 알게 된 세 명의 동료들 2013

Press Release

금호미술관은 2017년 5월 24일부터 기획전 《빈 페이지 Blank Page》를 개최한다. 금호미술관은 동시대 미술의 흐름을 반영하고자 비물질적인 소재와 공간성에 집중하여 관람객에게 공감각적 체험을 제공하는 전시를 지속적으로 기획해왔다. 전시 《빈 페이지》는 묘사할 수 없는 감각의 세계를 추상적인 서사의 형태로 구현하는 젊은 미디어아트∙설치미술 작가들의 작업을 선보인다. 이들은 공간과 관람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재구성되는 서사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소소한 일상의 이야기를 공감각적인 키네틱 아트로 재현하는 양정욱 작가와 가상과 현실을 넘나드는 밤의 풍경을 연출하는 김주리 작가는 자신만의 조형 언어로 서사적인 공간 설치 작업을 완성한다. 박재영 작가는 빛과 소리, 바람, 냄새 등 비가시적이고 비물질적인 매체를 통해 서사가 전시되는 방식을 실험하며, 박여주 작가의 설치 작품은 미지의 공간으로의 전환의 순간을 통해 관람자를 둘러싼 현실의 확장을 체험하게 한다. 한편 예술공동체 진달래&박우혁은 비정형적으로 조정된 영상과 사운드로 세계의 규칙을 재구성하여 낯선 공간을 선보인다. RPG게임의 가상현실 공간을 사유의 공간으로 변모시키는 박제성 작가의 영상 작업과 섬세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현되는 문준용 작가의 감성적인 인터랙티브 아트는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통한 새로운 영역의 서사를 보여준다.
전시 《빈 페이지》는 다양한 의미와 감각들이 상호작용하는 확장된 장으로 전시장을 탈바꿈시키는 동시대 미술의 전략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참여작가들의 작품은 시각이나 언어 등 어느 한 영역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감각을 중첩시킴으로써 새로운 이야기를 생성해나간다. 전시는 이들의 작품을 서사성의 키워드로 엮어냄으로써 작품과 공간, 그리고 관람자의 관계를 새로이 정립한다. 이번 전시에서 관객은 능동적인 주체로서 작품의 내러티브를 구성하고 직접 그 의미를 생성해나갈 것이다.

1F 홀
금호미술관의 1층 로비 출입문에 설치된 박여주 작가의 작품 「트와일라잇 존 Ⅲ Twilight Zone Ⅲ」은 해가 진 뒤 낮과 밤 사이의 시간을 의미하는 '트와일라잇'과 빛이 도달하여 어둠과 햇빛이 교차하게 되는 바닷속 공간인 '트와일라잇 존'을 그만의 조형적 언어를 통해 재현한 작품이다. 다른 시간과 공간에 있는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키는 작품은 '유리창(문)'이라는 특정 조건에 맞춰 새로운 공간을 연출한다. 유리의 투명한 속성으로 쉽게 지나치게 되는 입구에 X자 형태의 패턴을 입힘으로써, 관람자는 공간의 내부와 외부를 인지하게 되고 더불어 그 경계를 지각하게 된다. 래디언트 라이트 필름을 투과한 빛이 미술관 내부에 침투하여 만들어내는 특별한 공간은 관람자에게 다른 세계로의 여행의 시작을 알린다.

1F 전시실
양정욱 작가는 일상의 경험과 감정을 짤막한 글로 쓰고, 이를 서정적인 움직임을 가진 설치 작품으로 완성한다. 「저녁이 돼서야 알게 된 세 명의 동료들 Three Workmen I Came to Know Only in the Evening」(2013)은 작가의 자전적 이야기가 담긴 작품이다. 도시 외곽의 물류센터에서 그날 하루의 노동을 하기 위해 만나게 된 세 명의 동료들은, 종일 대화도 없이 각자의 일을 하다 나란히 퇴근 후 버스 정류장에 섰다. 도시의 조명이 흐릿한 그림자를 만들고, 피로에 지쳐 비틀거리는 이의 그림자가 동료들의 그림자에 조금씩 겹쳐졌다 멀어지기를 반복한다. 노랗게 어른거리는 세 그림자의 움직임은 관람자에게 묘한 바라봄을 불러일으킨다.

2F 전시실
박제성 작가는 제1회 VH어워드 대상 수상작 「여정 A Journey」(2015)을 선보인다. 17미터 이상 너비 곡면 가벽에 스크리닝되어 보다 장엄하고 광활한 가상 공간 풍경으로 펼쳐진 「여정」은 새로운 명상과 사색의 장으로서 관람자에게 다가간다. RPG 게임에서 흔히 볼 수 있을 법한 그래픽 공간은 낯설고 역설적인 사물들이 끊임없이 등장하면서 초현실적인 사유의 공간이 된다. 사람들의 소리가 들리지만 누구도 타고 있지 않은 롤러코스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휘날리는 깃발, 계속해서 형태가 바뀌는 달 등 수많은 상징들이 연이어지면서 관람자에게 질문을 던진다. 작가는 원시불교 등의 동양철학과 서양 현대철학의 논의들을 오가면서 유한하고 상대적인 인간 삶의 의미를 탐구한다. 동시에 자신의 질문들을 관람자와 공유하면서 관람자 또한 성찰에 빠져들도록 한다.

미디어 아티스트 문준용은 섬세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현되는 감성적인 인터랙티브 아트를 선보인다. 「비행 Flying」(2017)은 관람자가 양팔을 벌려 날갯짓하듯 움직이면 스크린에 이미지가 드로잉되는 작품이다. 이 이미지는 비행의 궤적을 따라갈 뿐만 아니라 양팔의 너비에 따라 드로잉되는 속도가 빨라지거나 느려지고, 각도에 따라서도 방향이 조종되어 비행의 궤도가 완만해거나 가팔라진다. 이렇게 프로그램과 사용자가 보다 복합적인 인터랙션을 주고받을 수 있게 함으로써 관람자는 실제로 스크린 속을 활공하는 듯한 감각을 느낄 수 있다. 적절한 사용자 위치에 서서 양팔을 벌려 움직인다는 약간의 규칙 하에 관람자는 완전히 새로운 자신만의 비행을 하게 된다. 매 순간 새로이 그려지는 생성적 이미지는 가능한 세계들을 무수히 만들어내고 이야기들은 끊임없이 이어져나간다.

3F 전시실
박여주 작가는 색, 선, 면 등 회화의 2차원적인 요소를 해체하여 3차원의 공간으로 들여와 재구성한다. 회화에서 재현을 위해 작동되었던 요소들이 공간에 놓이면서 만들어내는 낯설지만 익숙한 구조는 시각적인 감각에서 이를 인지하는 지각의 문제로 나아간다. 「불안한 여행 The Anxious Journey」은 조르조 데 키리코(Giorgio De Chirico)의 회화 「불안한 여행」 (1913) 속 여러 개의 시점이 뒤섞인 아케이드 구조와 특유의 뒤틀어진 공간을 재현한 작품이다. 전시장을 가로지르는 거대한 회색 벽을 기준으로 두 개의 공간이 만들어지고, 벽 중앙 출입구는 안쪽 공간에 위치한 붉은 빛의 체인징룸 가림막을 더 부각시킨다. 붉게 발산되는 빛을 향해 공간 안으로 들어서면서 경험하게 되는 이동(shift)과 전환의 순간은 시각에 대한 의문과 더불어 지각의 문제를 건들면서, 우리로 하여금 익숙한 현실에서 벗어나 실재에 더 가까운 상상의 현실로 다가서게 한다.

진달래&박우혁은 세계를 가득 채우고 있는 시간과 공간의 무수한 규칙들을 발견, 분석하고 분해하여 재구성하는 작업을 한다. 「패턴 연습 Pattern Exercise」(2017)은 전시장의 높은 층고를 살린 4.3미터 높이의 4채널 영상과 사운드로 낯선 감각의 공간을 만들어내고, 목재 구조물 설치 및 퍼포먼스와 함께 완성된다. 비정형적으로 조정된 영상과 사운드는 아주 간결하게 추상화된 형태의 우주 세계로, 떨어지는 물방울 소리는 중력으로 인해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과 우주 법칙의 존재를 환기시킨다. 기하학적 패턴의 영상과 물방울 사운드가 재구성된 우주의 법칙이라면 목재 구조물들이 설치된 전시장은 현실의 세계로, 구조물의 주변을 돌거나 오르내리는 인물들은 규칙에 종속된 삶의 모습을 표상한다. 생경한 감각들을 일깨우는 공간에서 관람자들은 자신도 모르게 규칙에 종속되고, 이미지와 세계가 존재하고 전달되는 방식을 체화하게 될 것이다.

B1 전시실
박재영 작가의 「아일랜드 에피소드: 스쳐 지나가던 사람들 The Island Episode : People Passing By」은 시각적인 정보가 거의 부재한 빈 공간에서 사운드와 바람 그리고 향과 같은 비물질적인 매체들로 서사를 구현한 작품이다. 가느다란 빛이 새어 나오는 벽 틈 사이로 어렴풋이 보이는 사람(들)의 움직임과 정체불명의 소리는 어떤 사건이나 상황이 구체적으로 제시되기보다 징후들로만 가득하다. 피부로 감지되고 추측을 유발하는 비물질적 요소들은 관람자로 하여금 무한한 상상을 하게 한다. 박재영은 서사 구조의 인과성과 공간성 그리고 시간성을 분절하는 작업을 통해 서사가 가지는 보편적인 구조를 소거한다. 처음과 끝이 존재하지 않는 열린 구조의 서사는 관람자가 공간에서 감각하고 인지해야 완성된다.

김주리 작가가 주목하는 것은 풍경이 담고 있는 기억과 그 기억을 유발하는 감각의 차원에서 이야기를 풀어가는 것이다. 풍경은 점점 소멸되어가지만 풍경에 대한 기억과 사라져가고 있음에 대한 인지는 선명해져 간다. 「일기(一期)생멸(生滅) Ⅱ Impermanence Ⅱ」는 관람자의 감각을 자극하는 마른 들쑥과 인공 조명이 공간을 가득 채우는 설치 작업이다. 인공물과 자연물이 공존하는 풍경은 가상과 현실 그 경계에 위치해 있다. 들쑥으로 인해 조성된 강한 향과 밀도 높은 공기 입자는 관람자로 하여금 알 수 없는 장소에 놓인 듯한 환영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내 조명이 암전되면서 몰입의 순간 갑작스럽게 사라지는 풍경은 가상과 현실 공간 사이에 감각의 교란을 일으킨다. 일종의 '거리짓기'를 통해 관람자는 감상하는 수동적인 위치에서 벗어나 보이는 '풍경'이 아닌 사라지는 '풍경'에 대해 집중하기 시작한다.

전시 『빈 페이지』는 다양한 의미와 감각들이 상호작용하는 확장된 장으로 전시장을 탈바꿈시키는 동시대 미술의 전략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참여작가들의 작품은 시각이나 언어 등 어느 한 영역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감각을 중첩시킴으로써 새로운 이야기들을 만들어나간다. 전시는 이들의 작품을 서사성의 키워드로 엮어내어 작품과 공간, 그리고 관람자의 관계를 새로이 정립한다. 이번 전시에서 관객은 능동적인 주체로서 작품의 내러티브를 구성하고 직접 그 의미를 생성해나갈 것이다. ■ 금호미술관

전시제목빈 페이지 _ Blank Page

전시기간2017.05.24(수) - 2017.08.31(목)

참여작가 문준용, 박재영, 박제성, 양정욱, 진달래&박우혁, 김주리, 박여주

관람시간화~일 10:00am~06:00pm

휴관일매주 월요일

장르미디어

관람료성인 5,000원
학생 3,000원

장소금호미술관 Kumho Museum (서울 종로구 삼청로 18 (사간동, 금호미술관) )

연락처02-720-5114

Artists in This Show

박재영(Park Jae-Young)

1981년 출생

박제성(Baak Je)

1978년 서울출생

양정욱(Junguk Yang)

1982년 출생

금호미술관(Kumho Museum) Shows on Mu:um

Current Shows

화살표
화살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