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내일의 작가 박진아 개인전

2010.11.19 ▶ 2010.12.19

성곡미술관

서울 종로구 경희궁길 42

Map

초대일시ㅣ 2010-11-18 17pm

  • 박진아

    사다리 02 캔버스에 유채, 230x170cm, 2010

  • 박진아

    그림을 바라보는 네 여자 캔버스에 유채, 230x178cm, 2010

  • 박진아

    원형갤러리에서 다림질하는 남자 캔버스에 유채, 230x155cm, 2010

  • 박진아

    저 위 조명 캔버스에 유채, 181.5x184cm, 2009

  • 박진아

    스크리닝을 기다리며 캔버스에 유채, 260x200cm, 2010

  • 박진아

    수평재기 캔버스에 유채, 135x182cm, 2010

Press Release

비생산의 재현, 박진아
과거 회화는 구상에 회화적 의미를 부여하던 몇몇의 ‘종교적인 가능성들’에 의해 조건지어졌지만, 현대 회화는 무신론적인 유희이다. - 프란시스 베이컨


‘오늘부터, 회화는 죽었다!’라고 폴 드라로쉬는 1839년 사진의 전신인 다게레오타입의 발명에 대해 외친다. 20세기 초 뒤샹은 예술 활동의 대안적 형태를 추구하기 위해 ‘회화를 금한다’라고 선언하며 망막적 예술의 전통을 비평한다. 이미지를 재현하는 테크놀러지의 발명들로 인해, 현대 회화는 과거 회화에 속했던 문서적 기능을 더이상 충족시킬 필요가 없으며, 회화가 전통적으로 추구하던 미학적 자율성은 현사회의 동시대적 이슈들과 거리를 두는 경향을 초래한다. 어떠한 가능성들에 여전히 재현적 이미지를 창조하는 오늘날의 화가들에게 가능한가. 21세기 회화는 현대 사회와 어떠한 새로운 미학적 관계를 맺는가. 박진아는 2004년부터 3여년간 로모크래피라는 카메라로 작가 주변의 아티스트나 친구들을 촬영한 장면들을 몇 편의 시리즈로 그린다. 사진을 사용하는 것이 작가가 사건의 현장에 다가가는 고리이지만, 사건을 기록한다는 의미가 작가에게 중요하지 않다. 박진아가 흥미를 느끼는 부분은 회화적 공간과 현실의 순간이 오버랩되는 지점이다. <문탠(Moontan)> 시리즈는 로모그래피 시리즈로 변화되는 첫 작품으로 작품 제목이 말해주듯 해를 대신하여 밤의 달빛으로 태닝을 한다는 멜랑콜리함과 땅거미진 잔디밭, 여기서 파티를 하는 고독어린 젊은이라는 존재들이 있다. 공기 중에는 하얀 무언가가 떠다닌다. 네 개의 캔버스에 벌어진 사건들 사이에는 어떠한 점진적 진행이나 서술적 내러티브도 내포하지 않는다. 이는 자신만의 시간적 리듬을 갖는 순환적인 구성의 회화이다.

이를 소개했던 개인전 제목인 은 박진아의 회화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비생산의 순간을 의미한다. 담배 피우는 순간, 한강 고수부지의 한적함이나 공원에서의 피크닉과 같은 장면들은 치열한 노동의 현장이 아닌 자본주의 생산 시스템에서 벗어난 휴식의 순간, 여가의 순간이다. 2007년부터 작가는 ‘먹는’ 장면이라는 인간의 필수 활동의 순간을 그린다. 음식을 먹으려 입을 벌리는 순간은 파티에 있을 다른 누군가와는 동떨어진 개인의 순간이며 정지된 순간이다. 한 사람이 음식을 입에 넣는 순간이라는 것은 ‘식욕’에서 출발한 인간 생존에 대한 형이상학적 목적의 순간이라기 보다는 동물적 집중력이 요구되는 행위의 순간을 작가는 캡쳐한다. 최근 박진아는 <프로젝터 테스트>를 시작으로 미술전시 설치 전경과 같은 미술씬을 그린다. 이 작품에서 프로젝터가 작품을 영사하기 전의 컴퓨터 바탕화면이 보이는 순간이다. 파랗게 보이는 빈 화면 앞에 큐레이터와 아티스트, 테크니션들이 서 있다. 빈 기표 앞에 모두들 숨죽이고 있다. ‘미술 커뮤니티에 관한 그림’이다. 일종의 메타-그림이라고 할 이런 회화들이 박진아만이 이루어낸 최초의 시도는 아니다. 벨라스케스의 ‘시녀들’이, 쿠르베의 ‘화실’와 같은 과거 서양 회화 작품들에서 시도들을 보여준 바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그림들은 ‘그림’에 관한 자신감의 표현이자 ‘아티스트’의 노동의 순간을 그린다면, 박진아의 회화들은 오히려 예술에서 예술 창작이라는 노동 행위나 심지어는 예술 작품 자체가 부재한다. <저 위 조명>에서는 큐레이터와 아티스트는 위를 쳐다보고 있다. 작품 제목을 읽지 않는다면, 이들이 미술관안에서 무엇을 하는 순간인지, 왜 멈추어 있는지 알기 어렵다. 바닥에는 작품을 싸던 하얀색 봉지가 추상적 형태로 그림 아랫면에 위치한다. 미술관에서의 계몽주의적 열망을 실현하기 위해 땀 흘리며 일하는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박진아는 이러한 ‘비생산적’ 공동체는 ‘미술관 속에서만 살아남을’ 뿐이라고 말하는 듯하다. 이러한 비생산적 공동체가 공유하고자 하는 현대 예술의 ‘사용 가치’를 통해, 이러한 회화작품들은 미학적 자율성을 유지하면서 이에 대한 비평적 엘리티즘을 자극시키는 예술의 잠재적 사용가치에 관한 질문을 던진다.

<테이블을 사이에 둔 두 남자> 시리즈에서는 박진아는 시간차를 두고 벌어지는 두 장면을 그린다. 한 명은 자신의 작품을 하얀 천으로 뒤덮고 있으며, 다른 이는 검은 옷을 입은 채, 바닥이나 뒤를 돌아보며 서 있다. 흰 천을 덮은 작품은 마치 그 죽음을 알리는 하얀 관 같아 보인다. 이러한 관의 이미지는 또다른 작품인 <그랜드 피아노>에서도 등장한다. 검은 천에 뒤덮인 그랜드 피아노는 그림 한 가운데에 존재한다. 연주되지 않는 피아노와 이를 둘러싼 사람들. 이들의 얼굴초차 유령처럼 보이며, 갤러리의 흰 벽은 공허하게 느껴진다. 작품을 덮은 흰 형상이나 그랜드 피아노의 검은 형상은 3차원적 물질이라기 보다는 하나의 윤곽으로 존재한다. 윤곽만의 부피감을 가지고 전체 그림 속 환경과는 격리된 그 안의 세계가 존재함을 이야기한다. 모든 화가는 각자의 방식대로 회화의 역사를 요약한다. 박진아는 빈 공간과 빈 순간을 캡쳐한다. 대상이 부재한 장소와 비생산의 순간을 그림으로써, 현대 회화가 갖는 재현의 문제, 미학적 자율성에 관한 질문을 하며, 관객에게 그 여가의 순간을 건낸다.
글: 양지윤(독립 큐레이터)

전시제목2009 내일의 작가 박진아 개인전

전시기간2010.11.19(금) - 2010.12.19(일)

참여작가 박진아

초대일시2010-11-18 17pm

관람시간10:00am~18:00pm

휴관일월요일

장르회화와 조각

관람료일반 5,000원
학생(유아, 초, 중, 고교생) 4,000원
20인 이상 단체 1,000원 할인

장소성곡미술관 Sungkok Art Museum (서울 종로구 경희궁길 42 )

연락처02-737-7650

Artists in This Show

박진아(Park Jina)

1974년 출생

성곡미술관(Sungkok Art Museum) Shows on Mu:um

Current Shows

화살표
화살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