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남준의 도시: 태양에 녹아드는 바다

2025.08.07 ▶ 2025.10.19

백남준아트센터

경기 용인시 기흥구 백남준로 10 (상갈동, 백남준아트센터) 백남준아트센터 제2전시실

Map
  • 전시포스터

  • 백남준

    촛불 TV Candle TV 1975(1999)

  • 백남준

    M200 1991 한국렌탈주식회사 소장품 Collection of Korearental Corporation

  • 강이연

    배니싱 Vanishing 2022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커미션 Commissioned by Art Council Korea, ARKO and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 구기정

    투명성 렌더링 장치 The Transparent Rendering Apparatus 2025

  • 권혜원

    더블 비전 Double Vision 2025

  • 염인화

    솔라소닉 밴드(Inst.) Solarsonic Band(Inst.) 2025

Press Release

'비디오 몰입'의 시대, 비디오가 만들어 내는 시공간의 초월적 경험은 무엇인가.

현대 도시는 밤낮을 가리지 않고 스크린에서 쏟아지는 빛으로 뒤덮이며, 이미지와 소리의 정보가 끊임없이 흐르는 거대한 인터페이스처럼 존재한다. 우리가 매일 마주하는 이 빛은 단순한 신체 감각의 자극을 넘어, 비디오 이미지와 소리를 전달하고 처리하는 전자 신호의 변환된 형태이기도 하다. 빛이 담을 수 있는 정보의 양과 전달 속도는 비약적으로 증대되고, 도시를 가로질러 흐르는 수백만 개의 비디오는 빛과 함께 재생되어 우리 앞에 펼쳐진다. 이는 인간의 인지 가능한 범위를 넘어 전에 없던 새로운 차원의 경험에 그치지 않고 우리가 세계를 기억하고 인식하는 방식에도 변화를 일으킨다. 이러한 도시 미디어 환경의 변화는 인류의 사건을 더 이상 말이나 글이 아닌 비디오로 기록하게 될 것을 예견한, 백남준의 '비디오리(videory)*'를 떠올리게 한다. 백남준의 말처럼 오늘날 역사는 이미지나 비디오로 기록된다. 인류의 정보, 사건, 이야기를 담은 수백만 개의 비디오가 중첩하는 시공간 가운데, 우리는 더 이상 비디오를 단순히 감각하는 존재가 아니라, 비디오가 기록하고 생성한 인류의 역사가 축적된 시공간 안에서 살아가는 존재임을 보여준다.

이 전시는 비디오가 만들어내는 시공간의 본질을 탐구했던 백남준의 사유를 출발점으로 삼아, 동시대 최첨단 기술이 만들어내는 비디오의 다층적 시공간을 살아가고, 이를 예술로 작업하는 동시대 작가들을 조명한다. 이들은 각자의 작업을 통해 지구 멸종과 소멸의 역사를 되짚어 인류의 지속가능성에 질문을 던지고, 기후 위기에 대한 가상 시나리오를 통해 타자의 존재를 새롭게 상상하며, 몰입적 기술의 기원을 통해 인간 인식 방식의 변화를 탐구하고, 자연과 기계가 뒤섞인 풍경을 통해 실제와 가상의 경계를 실험한다. 이들의 작품은 비디오가 재구성한 세계 안에서 비인과적으로 연결되고 동시에 발생하는 사건들을 통해, 지금의 순간을 다시 바라보게 하고 우리가 서로 더욱 깊게 연결되어 있음을 일깨운다. ■ 백남준아트센터

* "역사(history)"라는 단어는 인간의 사건들이 구술되고 문자로 기록되면서 비로소 성립된 개념이다. 오늘날 역사는 이미지나 비디오로 기록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제 더 이상 '역사'는 존재하지 않으며, 오직 '이미지리(imagery)' 혹은 '비디오리(videory)'만 존재한다. 백남준, 「빙햄튼에서의 편지」(1972)

- 이 전시는 용인특례시의 2025년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개최되며, 10월 20일부터 12월 31일까지 백남준아트센터 야외 미디어월에서, 이후 용인포은아트홀 야외에서 전시가 계속됩니다.

■ 개막프로그램
- 2025. 8. 7. (목) 15:00-16:00 @ 제2전시실
「연금술적 그대를 연기하라」, 이원석(동시대 음악가)
「2025. 8. 7.」, 선우숀킴(작곡가)

■ 작가 워크숍
- 2025. 8. 15.—2025. 8. 30 @ 플럭스룸
구기정의 「투명성 시각화 워크숍」, 8.15-16
염인화·이원석의 「AI-어쿠스틱 워크숍」, 8.23-24
권혜원의 「3D 입체시 워크숍」, 8.29-30

■ 오디오비주얼 퍼포먼스
- 2025. 9. 13. (토) 17:00 @ 야외 뒷동산
이승규 미디어 아티스트, 키라라 전자음악가
* 본 행사는 우천시 장소날짜가 변경될수 있습니다.


What sort of transcendent experience of space and time does video create in an era of "video immersion"?

The modern city is suffused with light that emanates from screens day and night. It exists as something like a vast interface with unending flows of image and sound information. The light we encounter every day does not simply stimulate our physical senses—it also exists as a converted form of electric signals that transmit and process video images and sounds. The volumes of information that light can contain have increased enormously, along with the speed of their transmission. Millions of video images stream across the city and appear before us, replayed with light. This is more than just a new kind of experience—transcending the bounds of human cognition, it is a phenomenon that alters the way we remember and perceive the world. Such transformations in the urban media environment conjure associations with Nam June Paik's "videory*": his prediction that human events would one day be recorded in video rather than told or written language. As Paik foresaw, history today is documented in image and video form. This shows that in a spatial and temporal setting where millions of video images overlap—containing the information, events, and stories of humankind—we are no longer beings who simply "perceive" video. We live in a time and place of layers of human history recorded and formed by video.

Taking as its starting point Nam June Paik's essential explorations of the time and space that video creates, this exhibition spotlights contemporary artists who are living in the multilayered video environments that today's cutting-edge technology creates and transforming this experience into art. In their work, they review a history of extinction and annihilation on Earth to pose questions about human sustainability; they envision the existence of others in new ways through imaginary climate crisis scenarios; they explore changes in human cognition through the origins of immersive technology; and they experiment with the boundaries of the real and virtual through landscapes blending nature with machinery. Based on events that are simultaneous and non-causally connected in a world redefined by video, the artists encourage us to reflect on our current moment through new eyes and realize how deeply interconnected we are. ■ NAM JUNE PAIK ART CENTER

* The word "history" came into being, because our events were told and written down thereafter. Now history is being recorded in images or video. Therefore from now on there is no more "History", but only "Imagery" or "Videory". Nam June Paik, Binghamton Letter(1972)

- This exhibition is presented as part of YONGIN SPECIAL CITY 2025 Smart Tourism City Project. It will remain on view from October 20 to December 31 at the outdoor Media Wall of Nam June Paik Art Center, and will continue at the outdoor venue of Yongin Poeun Art Hall.

■ Opening Programs
- Thursday, August 7, 2025, 3:00 PM – 4:00 PM @ Gallery 2
Acting Alchemical Dear, Won Suk Lee (Contemporary Musician)
2025. 8. 7., Sunwoo Shawn Kim (Composer)

■ Artist Workshops
- August 15-30, 2025 @ Fluxroom
Gijeong Goo's Visualizing Transparency Workshop, Aug 15–16
Inhwa Yeom & Won Suk Lee's AI-Acoustic Workshop, Aug 23–24
Hyewon Kwon's 3D Stereoscopy Workshop, 8.29-30

■ Audiovisual Performance
- Saturday, September 13, 2025, 5:00 PM @ Outdoor Backyard
YI SEUNGGYU, Media Artist, KIRARA, Electronic Musician
* This event may be rescheduled or relocated in case of rain.

전시제목백남준의 도시: 태양에 녹아드는 바다

전시기간2025.08.07(목) - 2025.10.19(일)

참여작가 백남준, 강이연, 구기정, 권혜원, 염인화

관람시간10:00am - 06:00pm
관람종료 1시간 전까지 입장가능

휴관일월요일 휴관

장르영상, 설치

관람료무료

장소백남준아트센터 Nam June Paik Art Center (경기 용인시 기흥구 백남준로 10 (상갈동, 백남준아트센터) 백남준아트센터 제2전시실)

기획조권진(백남준아트센터 학예사)

주최용인특례시, (재)경기문화재단, 백남준아트센터

주관용인특례시, (재)경기문화재단, 백남준아트센터

연락처031-201-8597

Artists in This Show

백남준(NamJune Paik)

1932년 서울출생

강이연(Kang Yiyun)

1982년 출생

백남준아트센터(Nam June Paik Art Center) Shows on Mu:um

Current Shows

화살표
화살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