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뜰리에 아키는 오는 8월 28일부터 10월 4일까지 시애틀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가 임현정의 개인전 《마음의 아카이브: 태평양을 건너며》를 개최한다. 임현정은 손끝의 즉흥성과 무의식의 흐름을 따르는 ‘직관적 드로잉(Intuitive drawing)’을 통해 가시화되지 않지만 인식되는 감정이나 기억, 상상 속의 공간을 비현실적이고 동화적인 풍경으로 재해석해 왔다. 이번 전시는 작가가 한국과 미국 서부, 유럽을 오가며 축적한 삶의 경험과 내면의 변화를 작가 고유의 직관적인 드로잉과 회화적 언어로 응축해 펼쳐 보이는 여정을 담은 회화 작품 20여 점으로 구성된다.
임현정의 작업은 선형적(線形的) 또는 논리적으로 기억이나 경험을 배열해 저장하는 방식을 취하지 않는다. 오히려 완결된 이야기나 단일한 해석에 머무르지 않고, 기억과 감각, 감정과 꿈을 기반으로 유동적(流動的)이고 비선형적(非線形的)으로 구성된 열린 구조로서 화면을 전개한다. 한 화면 위에 병치(竝置)되는 생명체, 이질적 존재, 일상에서 포착한 이미지들은 일견 무관해 보이지만, 그 내부에서는 보이지 않는 유기적 연결성과 새로운 질서를 형성한다. 이는 관객이 작품 앞에서 특정 지점을 응시하는 것을 넘어 자신의 마음결과 흐름에 따라 화면 전체를 천천히 유영하며, 각자의 경험으로 새로운 연결고리와 의미를 발견해 나가도록 유도하는 특별한 경험으로 이어진다. 특히 임현정의 화면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섬과 바다의 이미지는 고립과 연결,유동성이라는 양가적 성질을 동시에 품고 있다. <마음의 섬들> 시리즈 속 감정과 기억의 파편들은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듯하지만 실제로는 어떤 심층적 물의 흐름처럼 서로 얽혀 있어, 보는 이로 하여금 자신의 내면 또한 유사한 파편과 연결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을 환기시킨다.
“나는 손이 가는 대로 이미지를 즉흥적으로 그려내는 직관적인 드로잉(Intuitive drawing)을 기반으로, 상상 속 내면의 풍경을 시각화해 왔다. 이는 내가 살아가는 현실의 경험과 감정을 반영하면서, 동시에 환상적이고 초현실적인 세계를 회화적으로 제시하려는 시도이다.” / 2025 임현정
전시 제목 ‘마음의 아카이브’는 2018년부터 미국 서부에 거주하며 한국과 미국을 오가며 작가가 겪었던 다양한 사건, 심리적 파장, 그리고 문명과 문화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감각의 단편들을 아카이브, 즉 내면적 기록 또는 저장 창고처럼 화면에 집적(集積)해 온 작가의 작업 태도에서 비롯되었다. 과거 한국과 런던 그리고 유럽에서 쌓은 문화적 자산과는 또 다른 샌프란시스코와 시애틀의 자연환경, 다층적 커뮤니티, 그리고 낯섦과 익숙함이 교차하는 감정의 결에서, 임현정은 자신만의 회화를 만들어 낸다. 작가는 지난 2020년 《Strangers in a Strange World》 (2020, 샌프란시스코) 개인전에서는 캘리포니아의 자연과 다양성, 복합적인 이방인의 감정을 실험적으로 가시화하였으며, 2025년 시애틀 개인전 《Trip West》(2025, 시애틀)에서는 미국 서부 국립공원의 광활함과 압도적 자연을 모티브로 실재와 상상, 즉 실존하는 풍경과 내면 풍경의 경계를 새로운 상상의 영역으로 구축했다. 이러한 작가적 고찰은 북유럽 르네상스 거장 히에로니무스 보쉬 (Hieronymus Bosch)와 피터 브뤼겔 대 (Pieter Bruegel)에 대한 오마주 (Homage)이자, 동양 산수화의 몽환적 이상향과 미국의 광활한 대자연을 교차시키는 회화적 실험으로 이어지며, 신화와 현실, 개인의 역사가 화면 위에서 자유롭게 뒤얽힌다.
부제 ‘태평양을 건너며’는 단순히 지리적 이동과 변화의 표상이 아니다. 2018년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USA)에서 개최된 《Thomas Cole's Journey: Atlantic Crossings》 전시에서 영감받은 이 부제는, 19세기 영국에서 미국으로 이주하며 고전적 회화 전통과 신대륙의 자연을 창의적으로 융합시킴으로써 미국 풍경화의 독자적 미학을 새롭게 정립한 토마스 콜 (Thomas Cole)과 같이, 임현정 작가가 태평양을 가로지르며 한국 미술의 안과 밖, 동서양의 전통과 현대, 그 교차점에 선 존재로 거듭나고자 했던 작가의 치열한 태도가 내포되어 있다. 또한 임현정 작가의 작품 속 자연의 스케일, 빛과 날씨, 해안선의 풍경은 실제 여행을 통해 경험한 감각이자, 동시에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와 같은 동아시아 회화에 내포된 이상향의 꿈과 환상에 대한 회화적 해석이기도 하다.
이번 전시 《마음의 아카이브: 태평양을 건너며》는 정형화된 기억의 저장소가 아니라, 계속해서 흐르고 확장되는 임현정의 ‘마음의 풍경’을 보여주며, 삶과 예술, 현실과 상상, 자신과 타인이 만나는 지점에서 진정한 회화적 소통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화면에 구축된 작가의 사적인 내면의 이미지들은 관객 개개인의 해석과 감정을 이끌어 새로운 아카이브로 재구성될 것이며, 나아가 인간이 가진 각자의 문화적 배경과 내면의 풍경이 낯설지만, 의미 있게 연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관객들은 이 여정 속에서, 자신만의 감정 지형과 내면의 전이를 새롭게 발견하는 아카이브의 장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임현정 (b.1987)은 서울대학교에서 서양화를 전공하고, 영국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Central Saint Martins)에서 순수예술을 전공했다. 작가는 최근Gallery 4Culture(2025, 시애틀)을 포함하여, Pacific Medical Center(2020, 샌프란시스코), James Freeman Gallery (2015, 런던) 등 해외에서 개인전을 갖은 바 있으며, 국내에서는 에이라운지(2023, 서울)과 OCI 미술관(2016, 서울) 등에서 개인전을 개최하였다. 주요 단체전으로는 부산현대미술관( 부산, 2024), 워싱턴한국문화원 (워싱턴, 2023), 서울대미술관 (서울, 2023), 아뜰리에 아키 (서울, 2022), SeMA 창고 (서울, 2017) 등이 있다. 또한 2016년 서울시립미술관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10기 레시던시를 비롯한 독일, 영국, 일본의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국제적으로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그녀의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 정부미술은행, 부산현대미술관, 서울대 미술관, OCI 미술관 등의 기관에 소장되어있다.
ATELIER AKI is pleased to present《 Archive of the Mind: Across the Pacific》, a solo exhibition by Seattle-based artist Hyunjeong Lim, on view from August 28 to October 4. Through the practice of intuitive drawing guided by spontaneous gestures and the flow of the unconscious, Lim translates emotions, memories, and imagined realms that, though unseen, are deeply perceived, into fantastical, otherworldly scenes. This exhibition presents 00 new works that invite viewers on a journey distilled through Lim’s intuitive drawing and distinct visual language, shaped by her lived experiences and inner transformations across Korea, the U.S. West Coast, and Europe.
Hyunjeong Lim’s work does not follow a linear or logical method of arranging and storing memories or experiences. Rather than presenting a complete narrative or singular interpretation, her compositions unfold as open, non-linear structures?fluid in nature and guided by the flow of memory, sensation, emotion, and dreams. The juxtaposition of living creatures, uncanny figures, and strange images drawn from everyday life may appear disconnected at first glance, yet within the work, they form invisible, organic connections and new systems of meaning. This approach invites viewers to drift across the canvas rather than fixate on a single point, allowing them to discover their own connections and meanings through the rhythm and flow of their own perception. Notably, her recurring motifs of islands and oceans embody this duality of isolation and connection, stillness and movement. In the series, fragments of emotion and memory may appear to exist independently, but are in fact subtly intertwined like the deep, unseen currents of water, evoking in the viewer a recognition of similar patterns and connections within their own inner landscape.
"I visualize imagined inner landscapes through intuitive drawing, allowing images to emerge spontaneously as my hand moves. This process reflects my lived experiences and emotions, while also seeking to depict a fantastical, surreal world through painting."
/ 2025, Hyunjeong Lim
The exhibition title ‘Archive of the Mind’ reflects Lim’s ongoing practice of collecting and layering fragments of lived experience, emotional shifts, sensory impressions shaped by the cultural and psychological boundaries she has navigated since relocating to the West Coast of the United States in 2018. Her canvases act as a personal archive, a space where internal records of memory take visual form through her creative practice. While Lim's earlier cultural foundation was shaped by time spent in Korea, London, and Europe, her experiences in San Francisco and Seattle introduced a new range of influences. The natural landscape, layered communities, and emotional tension between the familiar and the unfamiliar have become central to her evolving practice. In her 2020 solo exhibition 《Strangers in a Strange World》(2020, San Francisco), Lim explored the diverse environments of California and the complex emotions of being a foreigner through experimental visual forms. Following this, her 2025 solo exhibition Trip West (2025, Seattle), she drew inspiration from the vast and overwhelming landscapes of the American West’s national parks to construct an imagined space where real and internal landscapes converged. Lim’s artistic exploration serves as both an homage to Northern Renaissance masters Hieronymus Bosch and Pieter Bruegel the Elder, and a visual experiment that brings together the dreamlike utopias of East Asian landscape painting with the vast wilderness of the American West. On her canvas, myth, reality, and personal narrative freely unfold in layered dialogue.
The subtitle ‘Across the Pacific’ is more than a reference to geographic movement or change. Inspired by the 2018 exhibition《Thomas Cole's Journey: Atlantic Crossings》 at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it echoes the spirit of Thomas Cole, who emigrated from 19th-century Britain to America and redefined the aesthetics of American landscape painting by weaving together the expansive nature of the New World with the compositional principles of classic European art. In addition, the vast scale of nature, shifting light and weather, and coastal imagery in her work are drawn from lived travel experiences, yet they also evoke a visual reinterpretation of the dreamlike ideals found in East Asian art, reflecting the spirit of Dream Journey to the Peach Blossom Land, where reality and fantasy fluidly coexist.
The exhibition 《Archive of the Mind: Across the Pacific》 does not present memory as a fixed or standardized repository, but instead reveals Hyunjeong Lim’s ever-shifting and expanding inner landscape. It explores the possibility of genuine dialogue through art at the intersection of life and art, reality and imagination, self and other. The deeply personal images constructed on the canvas invite viewers to bring their own interpretations and emotions, transforming the work into a new kind of archive. In doing so, the exhibition suggests that despite cultural differences and unfamiliar inner worlds, meaningful connections can still emerge. Through this journey, viewers are invited to discover their own emotional topographies and internal shifts, experiencing the archive as a deeply personal and reflective space.
Hyunjeong Lim (b. 1987) studied Western painting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earned her MFA in Fine Art from Central Saint Martins in London. She has presented solo exhibitions internationally, including Gallery 4Culture (Seattle, 2025), A-Lounge (Seoul, 2023), Pacific Medical Center (San Francisco, 2020), the OCI Museum of Art (Seoul, 2016), and James Freeman Gallery (London, 2015). Her work has also been featured in notable group exhibitions at the Korean Cultural Center in Washington D.C. (2023),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of Art (2023), the Children’s Gallery at the Busan Museum of Art (2018), and SeMA Storage (2017). Lim has participated in several international residency programs, including the 10th Nanji Art Studio residency at the Seoul Museum of Art (2016), as well as residencies in Germany and Japan. Her work is held in major public collections, including the Museum of Contemporary Art Busan,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Art Bank), and the OCI Museum of Art.
전시제목임현정: 마음의 아카이브: 태평양을 건너며 Archive of the Mind: Pacific Crossing
전시기간2025.08.28(목) - 2025.10.04(토)
참여작가
임현정
관람시간10:00am - 07:00pm
휴관일일요일 휴관
장르회화
관람료무료
장소아뜰리에 아키 atelier aki (서울 성동구 서울숲2길 32-14 (성수동1가, 갤러리아 포레) 1층)
연락처02.464.7710